“삼성 기부금 받아 비판 수위 낮춘 것 아니다”… 박원순, 돈 문제 적극 해명
입력 2011-09-23 21:37
여야 모두 야권 통합후보로 거론되는 박원순 변호사에 대한 본격 검증에 나서면서 각종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박 변호사는 23일 작심한 듯 해명에 적극 나섰다.
박 변호사 공격에 주로 거론되는 건 돈 문제다. 박 변호사가 설립한 희망제작소가 대기업에서 기부금을 받았고, 특히 삼성으로부터 7억원의 기부금을 받은 이후 이 기업에 대한 비판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 변호사는 암사생태습지공원과 한강시민공원 반포지구 등지에서 진행한 ‘경청투어’에서 기자들과 만나 “개인적으로 후원받은 적 없다. 후원금은 늘 공정하게 공익을 위해 썼다”며 “2002년 이후에는 다른 형태의 시민운동을 했다. 삼성에 대한 비판이 갑자기 줄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포스코 등 대기업 사외이사를 역임하며 수억원의 보수를 받은 것에 대해서는 “보수는 전부 기부했고 스톡옵션까지 포기했다”며 “사외이사를 통해 (기업이) 외압에 흔들리지 않게 하는 역할도 했다”고 반박했다. 박 변호사는 “사외이사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에 대해 공부했다”고도 했다. 그는 5년간(2004년 3월~2009년 2월) 포스코 사외이사를 맡아 대략 7000만원 정도의 연봉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풀무원 홀딩스 사외이사도 맡았다가 서울시장 출마에 나서면서 지난 9일 사퇴했다.
박 변호사가 서울 방배동 S아파트(61평형)에 거주하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 박 변호사 측은 “보증금 1억원에 월세 250만원을 주고 살고 있다”며 “미국 하버드 대학 등에서 유학할 때 가져온 자료가 한 트럭 분량인데 이를 보관할 곳이 마땅치 않아 2008년 (넓은 평형으로) 이사를 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박 변호사와 민주당은 야권 통합후보 선출 방식을 두고 팽팽한 신경전을 펼쳤다. 박 변호사 측은 여론조사 결과와 배심원제를 혼합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배심원제는 TV프로그램인 ‘나는 가수다’와 비슷한 방식으로, 주요 시민단체 인사로 구성된 배심원단에 후보 결정 투표권을 주자는 것이다.
그러나 민주당은 시민단체 인사로 배심원을 구성하면 박 변호사가 훨씬 더 유리해진다며 반대했다. 대신 일반시민으로 선거인단을 모집해 이들이 경선 장소에 직접 나와 현장투표를 실시하는 ‘시민참여경선’을 주장하고 있다. 박 변호사 측은 당 조직을 선거인단 참여에 동원할 수 있다며 거부하고 있다.
김원철 기자 won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