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료 대폭 올려 적자 메우려는 水公

입력 2011-09-22 18:39

한국수자원공사가 4대강 사업 때문에 부채가 증가하고 재무건전성이 악화되자 물값을 올리는 방법으로 국민들에게 부담을 전가시키려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수자원공사가 22일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소속 민주당 김진애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공사의 2010년 부채 총액은 7조9607억원으로 2006년(1조7436억원) 대비 4.6배 증가했다.

부채 비율도 같은 기간 18.1%에서 지난해 75.6%로 급증했고, 금융성 부채도 1조원에서 7조원으로 늘었다.

특히 4대강 사업을 배제할 경우 공사의 2015년 부채는 7조7189억원으로 부채 비율이 63%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으나, 4대강 사업 추진으로 부채는 15조6969억원에 부채 비율이 128%까지 확대되는 것으로 예상됐다. 4대강 사업이 수자원공사의 경영악화를 심화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경영악화가 불가피한 상황에서도 지난해 수자원공사 사장 연봉은 최근 5년간 최고액인 2억4500만원이었고, 직원들 1인당 평균 보수도 6800여만원으로 국토부 산하 공기업 최상위권을 유지했다.

수자원공사는 재무구조가 악화되자 내년부터 광역상수도와 지방상수도 등 물값을 대폭 올리기로 했다.

수자원공사의 ‘중장기전략경영계획’(2010∼2019)에 따르면 광역상수도와 지방상하수도 등 수도요금을 2012년부터 2019년까지 매년 3%씩 총 27% 인상할 계획이다.

공사는 물값 인상으로 광역상수도 부문 영업이익이 2012년 721억원에서 2019년에는 3225억원으로 2504억원이 증가하고, 지방상하수도 부문 영업이익도 같은 기간 101억원에서 1698억원으로 1597억원이나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한나라당 홍일표 의원이 공개한 수자원공사의 ‘방사성물질 정수처리 대응 및 위기관리시스템 매뉴얼’에 따르면 원전사고 발생 시 우리나라 59개 정수장 가운데 방사성 물질인 요오드와 세슘을 음용수 수준으로 정화 처리할 수 있는 역삼투 설비를 갖춘 정수장은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석철 기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