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대 국회 마지막 국감-행정안전위] “경찰청장 정치권 기웃” vs “증거 대라” 얼굴 붉혀
입력 2011-09-22 21:42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22일 경찰청 국정감사에서는 민주당 대표실 도청의혹 사건 수사, 제주도 강정마을 사태 대응 등을 놓고 공방이 벌어졌다.
민주당 백원우 의원은 “도청사건을 수사한 지 3개월이 지났는데도 수사결과를 발표하지 못하고 있다”며 “정권 관련 수사가 대단히 편향돼 역대 경찰청장 가운데 가장 정권에 충성하는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그러자 조현오(사진) 경찰청장은 “결코 동의하지 않는다”며 “도청사건은 형사소송법 절차에 따라 수사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백 의원은 “경찰행정을 제대로 못하면서 다음 총선에 출마하려고 정치판에 기웃댄다는 말이 파다하다”고 재차 공격했고 조 청장은 “모욕적인 발언을 삼가 달라. 증거를 대보라. 뭘 제대로 못했냐”고 받아쳤다. 백 의원과 조 청장이 얼굴을 붉히며 고성으로 설전을 벌이자 이인기 위원장이 나서 양측을 자제시켰다.
민주당 문학진 의원은 “강정마을 사태 악화에는 강제 진압에 나선 경찰 책임이 가장 크다”며 “사회적 합의로 풀 수 있는 기회를 차단한 것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 청장은 “경찰은 국책사업을 적극 뒷받침할 의무가 있다”면서 “공사를 방해하지 말라는 법원 결정도 나왔으니 불법행위가 있다면 법 집행을 엄정하게 하는 게 타당하다”고 답변했다.
용역폭력 문제도 제기됐다. 문 의원은 “부산 한진중공업 농성현장에서 폭력을 행사해 경찰 수사를 받고 있는 경비업체 ‘장풍HR’은 6개월간 한진으로부터 40억원의 수고비를 받았다”고 지적했다. 행안위는 이 업체 공동대표 2명을 참고인으로 채택했지만 이들은 출장과 투병을 이유로 국감장에 나오지 않았다. 이 중 1명은 ‘사회공포증’이란 병명의 진단서를 불출석 이유서에 첨부했다.
민주당 이석현 의원은 “최근 정전사태 때 경찰이 언론을 통해 사태 발생 사실을 파악했고 2시간 이상 지난 뒤에야 지방경찰청에 대응 지시를 내렸다”며 위기관리 문제를 질타했다. 조 청장은 “지식경제부나 한전이 통보해주지 않아 뉴스를 보고 확인할 수밖에 없었고 관계부처와 연락을 시도했지만 제대로 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