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MB맨’ 잇단 비리 의혹… 권력형 게이트 열리나
입력 2011-09-22 18:10
김두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에 이어 대표적인 ‘MB맨’으로 불렸던 신재민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까지 금품수수 의혹에 휘말리자 여권에 극도의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한나라당 김기현 대변인은 22일 “본인(신 전 차관)이 부인하고 수사요청을 했으니까 수사 결과를 좀 더 봐야 한다”며 밝혔지만, 여권 내부에선 정권 차원의 비리게이트로 확대될지 우려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여권 핵심관계자는 “‘신재민 건’은 일종의 협박용일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정권 실세와 가까운 인사들이 이국철 SLS그룹 회장에게 ‘회사를 돌려주겠다’며 수십억원을 요구했다는 얘기가 있다”며 “따라서 이 회장의 폭로는 신 전 차관만 노린 게 아니라 정권 실세들을 향해 ‘빨리 움직여!’ 하는 일종의 메시지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날 이 회장은 기자들과 만나 정권 실세로 불리는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제2차관에게 향응을 제공했다고 추가 폭로했다.
청와대도 여론추이를 심각하게 보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이 기회가 있을 때마다 “측근 비리는 없다”며 공정사회를 외쳤던 터라, 잇따르는 권력형 비리 의혹으로 역풍이 불 경우 임기 말 레임덕이 급속히 진행될 수 있다는 위기감 때문이다. 10·26 재·보궐 선거뿐 아니라 내년 총선이 임박한 한나라당 의원들은 패닉 상태에 빠졌다. 친이명박계 김용태 의원은 “대통령 측근들이 줄줄이 연루됐다는 의혹이 터지니 안타깝다”며 “하나둘 쌓인 의혹들이 선거 때 폭발할 수 있어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또 다른 수도권 의원은 “‘안철수 현상’으로 가뜩이나 쉽지 않은 선거판에 잇단 비리 의혹이 터져 이제 지역구에 가기가 무섭다”고 전했다.
일각에선 신 전 차관 문제를 정권 차원이 아닌 개인 문제로 국한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한 의원은 “이 회장 주장이 사실이라면 기자 시절부터 돈을 받은 것”이라며 “신 전 차관이 대선 캠프에 들어오기 전부터 그랬다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 대통령 참모들이 잇따라 금품수수 의혹에 연루된 것은 부패가 만들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 대통령의 2006년 대선 캠프였던 ‘안국포럼’ 출신 한 의원은 “청와대 수석과 비서관들의 월급이나 활동비는 사람들을 만나고, 식사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며 “재산이 있는 사람이 아니면 주변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특히 활동비가 전혀 없었던 캠프 시절에는 말 그대로 ‘알아서 활동비를 조달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라고 한다. 또 다른 안국포럼 출신 인사는 “신 전 차관이 금품을 수수한 게 사실이라면 아마 캠프 시절 팀 운용비로 보조를 받았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민주당 이용섭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알려진 액수나 수수 기간도 놀랍지만 돈의 일부가 대선 경선 캠프로 흘러들어갔다는 주장은 가히 충격적”이라며 신 전 차관에 대한 즉각적인 검찰 수사를 촉구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