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美 공화 원내대표에 전화해 FTA 협조 당부”

입력 2011-09-22 21:43

이명박 대통령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미국 의회 비준을 위해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에게 전화를 걸어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뉴욕 피에르 호텔에서 열린 동포 간담회에서 “얼마 전 공화당 원내대표에게 내가 전화했다. 여당(민주당)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알아서 하실 테니까, 한·미 FTA 비준을 위해 야당(공화당)에 내가 전화했다”며 이 같은 사실을 털어놨다.

이 대통령은 “(매코널) 원내대표한테 ‘공화당이 여당일 때 한·미 FTA를 얼마나 하려 했는데, 야당 됐다고 반대하느냐’고 얘기했다”며 “그랬더니 원내대표도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이어 “통화 후에 (상황이) 정말 많이 바뀌었다. (매코널 원내대표가)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다는 얘기를 한덕수 주미대사를 통해 들었다”고 덧붙였다.

이 발언은 뉴욕 교포들에게 국제사회에서 한국 위상이 높아졌음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 대통령이 미국 야당 원내대표에게 이 정도로 할 만큼 됐다”며 “2008년만 해도 (국제무대에서) 내가 만나려고 하는 사람이 많았는데 지금은 세계 정상들이 나를 만나려 줄을 서야 한다”고 했다. 또 내년 총·대선에서 처음 실시되는 재외국민 투표와 관련, “(선거 문화는) 아직 선진화가 좀 덜 됐다고 할 수 있다”면서 “여러분도 투표할 때 고향이나 지역 따라 찍을 거면 국내에 와서 사는 게 낫다. (그런 지역색 투표에) 가담하시는 분이 있으면 오늘부터 손을 떼시라”고 농담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유엔본부에서 열린 원자력안전고위급회의 기조연설을 통해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원자력을 포기하는 이유가 돼선 안 된다”며 “현재까지 대체에너지만으론 세계적인 에너지 수요 증가와 기후변화 대응에 한계가 있어 원자력 활용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국제사회의 ‘친(親)원전’ 진영 목소리를 대변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원자력 안전 강화를 위한 3대 과제로 각국의 독립적인 안전규제 체제, 원전 운영 투명성 확보, 사고에 대비한 지역적 차원의 공조 등을 제시하며 “한국은 다음 달 대통령 직속 ‘원자력안전위원회’를 출범시킬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뉴욕의 한 호텔에서 지난달 31일 취임한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와 첫 정상회담을 갖고 “한·미·일 3국의 긴밀한 협조와 정보 교류가 중요하며, 이것이 북한을 국제사회로 나오게 하는 길”이라는 점에 공감했다. 독도나 일본군 위안부 배상 청구권 등 민감한 현안은 거론하지 않은 채 ‘상견례’처럼 진행됐다.

뉴욕=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