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해외자원 개발 사업 감사 중… 석유· 가스· 광물公 등 대상
입력 2011-09-21 21:57
감사원이 지난 5월부터 4개월째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등의 해외자원 개발사업에 대한 감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감사원은 또 이번 국정감사에서 자원외교를 둘러싼 각종 의혹이 제기됨에 따라 다음 달 국감이 끝나는 대로 해외자원 개발사업 전반에 대한 전면감사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감사원 관계자는 21일 “지난 5월 해외자원 개발사업에 뛰어든 공기업을 대상으로 감사에 착수해 최근 현장감사까지 마쳤다”면서 “내부 처리절차를 거쳐 조만간 감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석유공사 관계자도 “감사원으로부터 해외자원 개발사업에 대해 강도 높은 감사를 받았다”며 “우리와 가스공사, 광물자원공사 등 세 군데가 타깃인 걸로 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번 감사를 통해 국감에서 여야 의원들이 질타한 이명박 정부의 자원외교 부실 전모가 드러날지 주목된다.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이학재 의원은 지난 15일 “석유공사가 투자비 4억여 달러를 들여 추진해온 이라크 북부 쿠르드 유전 개발사업이 탐사 결과 사업성이 없어 사실상 실패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조경태 의원도 19일 지식경제부 국정감사에서 “현 정부 들어 추진 중인 해외자원 개발사업 30여건 가운데 10건이 현지에서 철수한 상태”라며 “나머지 진행 중인 사업 상당수도 경제성이 낮다는 게 전문가들 의견”이라고 밝힌 바 있다.
감사원은 이들 공기업에 대한 감사에서 현재 진행 중인 해외자원 개발사업의 경제성 여부와 실패 원인 등을 집중 점검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 정부의 ‘트레이드마크’인 자원외교는 최근 논란거리로 부상했다. “자원외교의 쾌거”라고 소개된 사업 대다수가 ‘속 빈 강정’이었다는 비판이 나오는가 하면, CNK사의 다이아몬드광산 개발, KMDC사의 미얀마 해저유전 개발 등 사기업의 해외자원 개발사업에 정권 실세들이 개입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현 정부의 자원외교에 대해 전면적인 감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터져 나오고 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지난 8월말 CNK의 다이아몬드광산 개발사업에 대한 감사원 감사를 청구했으며, 민주당은 오는 29일 감사원 국감에서 자원외교에 대한 전면 감사를 촉구한다는 방침이다. 감사원 측은 “현재 진행되는 국감에서 자원외교에 대한 감사 여부가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며 “관련 부서에서 국감 상황을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