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신용 강등] ‘빚 폭탄’ 그리스 어쩌나… 트로이카 실사단, 추가지원 회의적
입력 2011-09-20 22:22
‘빚 폭탄’을 안고 있는 그리스는 추가 지원을 받기 위해 사투를 벌이고 있지만 전망이 밝지 않다. 다음달 중순 디폴트(채무불이행)를 앞두고 유럽연합(EU), 국제통화기금(IMF), 유럽중앙은행(ECB) 등 이른바 트로이카 실사단이 더 적극적인 재정긴축안을 내놓으라고 압박하며 궁지로 내모는 형국이다.
트로이카 실사단은 19일(현지시간) 그리스 재무장관과의 전화회의에서 1차 구제금융 중 6차분(80억 유로) 집행의 전제조건인 그리스의 재정긴축 프로그램 이행에 대해 논의했다. 전화회의는 20일에도 열렸으나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로이카의 반응이 회의적이라고 전했다.
현 상황에선 그리스가 올해 적자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는 무리라는 이유에서다. 실제 그리스는 국내총생산(GDP)을 훌쩍 넘어선 빚 문제에다 경기 침체까지 겹쳤다. 금융정보 서비스 업체 마킷(Markit)은 그리스의 디폴트 가능성을 99.9%로 분석했다. 남은 공적자금으로는 길어야 다음달 10일까지 버틸 수 있다. 거의 국가부도가 임박했다는 뜻이다. 이런 상황이라면 추가 지원을 받더라도 결국 디폴트에 이를 것이란 분석이 대세를 이룬다.
루비니 미 뉴욕대 교수는 FT 기고문에서 “그리스가 부채의 악순환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유로존을 자발적으로 탈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로이카는 공공부문 구조조정을 통해 12만5000명가량의 인력을 해고할 것과 술 담배 사치품 등에 대한 과세 강화안 등 좀더 강도 높은 긴축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 그리스는 공무원 임금을 낮추고 비효율적인 국영 기업들을 더 팔기로 약속까지 했지만 국민들의 반발 때문에 트로이카 측 요구를 선뜻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
이 가운데 그리스 정부가 유로존 탈퇴 찬반 여부를 놓고 국민투표를 검토 중이라는 설까지 등장했다. 이에 대해 그리스 정부 안겔로스 톨카스 부대변인은 “논의한 바 없다”고 부인했지만 이 같은 초강수 방안까지 나도는 것을 보면 허리띠 졸라매기에 지친 그리스의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알 수 있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