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매몰지역 72곳 “침출수 위험 소각 필요”
입력 2011-09-19 18:42
전국 4799곳의 구제역 매몰지 가운데 1159곳에 대한 관측정 모니터링 결과 72곳이 이설 및 소각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미경 의원(민주당)은 19일 환경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각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받은 관측정 모니터링 결과를 환경부의 해석 요령에 따라 분석해 이 같은 결론을 냈다고 밝혔다.
환경부의 ‘가축 매몰지 관측정 모니터링 결과 해석 요령’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단계인 ‘침출수 유출 가능성이 높은 단계’는 전국에 걸쳐 30곳이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단계는 암모니아성질소 10ppm, 염소이온 100ppm 이상이 동시에 해당하는 곳으로 침출수 수거를 강화하거나 매몰지를 이설 또는 소각 처리해야 하는 곳이다.
2단계 ‘침출수 유출 의심단계’에 해당하는 매몰지는 전국 130곳이었다. 2단계 매몰지는 암모니아성질소 2ppm, 염소이온 25ppm 이상이 동시에 해당하는 곳이다. 2단계 매몰지 중 암모니아성질소와 염소이온의 곱이 1000ppm 이상 되는 곳은 1단계에 해당하는 조치를 해야 한다. 이미경 의원실의 분석 결과 130곳 중 1단계 조치를 시행해야 하는 매몰지는 42곳이었다.
환경부는 지금까지 구제역 매몰지 관측정 모니터링은 지자체 소관이고, 자료는 농림수산식품부에서 관리하고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 의원은 “환경부와 농식품부에 구제역 매몰지 관측정 모니터링 결과를 요구했지만 두 부처는 서로 주무부처가 아니라며 책임을 떠넘기기에 급급했다”며 “정부는 관측정을 통한 침출수 유출 여부를 알 수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임항 환경전문기자 hngl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