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대 국회 마지막 국감-총리실·외통위] CNK 다이아몬드 사업 野 “특혜 의혹 있다” 맹공
입력 2011-09-19 21:29
국무총리실과 외교통상부의 19일 국정감사에서는 현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자원외교가 난타를 당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총리실 국감에서 자원개발 회사 CNK의 카메룬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사업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우제창 의원은 “정권 핵심 인사인 박영준 전 총리실 국무차장의 측근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외교통상부가 작년과 올해 두 차례 보도자료를 내고 CNK가 추진하는 다이아몬드 개발사업의 경제성을 옹호했다”면서 “그러나 외교부가 경제성이 있다는 근거로 보도자료에 인용한 유엔개발계획(UNDP) 보고서는 작성 주체나 연도도 없는 정체불명의 문건이고, 국제 광물 평가 기관인 MSA의 기술보고서 역시 부정적인 내용은 다 빼고 긍정적인 면만 부각시켰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이성남 의원은 CNK 측이 제출한 충남대 김원사 교수의 탐사보고서도 신뢰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김 교수는 CNK마이닝의 이사로 등록했고, 부인 오모씨는 이 회사 대주주였다”며 “오씨는 이후 주식 배정과 양도 과정에서 15억원 가까운 이익을 실현했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 신건 의원도 “CNK인터내셔널의 오덕균 대표는 주가가 폭등하기 전 172만주를 매각했고, 오 대표로부터 주식을 사서 되판 사람들은 총 250여억원의 차익을 보게 됐다”며 “큰 이익이 기대되는 주식을 헐값에 매각한 것은 관계 공무원이나 특정인에게 특혜를 주기 위한 것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아울러 민주당 의원들은 이영수 한나라당 전 청년위원장이 회장으로 있는 신생 자원개발 업체 KMDC의 미얀마 해상광구 탐사·개발권 취득 과정에도 박 전 차장과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가 개입했다고 주장했다.
외교부 국감에서도 자원외교 청문회를 요청하는 등 야당 측의 비판이 거셌다. 민주당 원혜영 의원은 CNK 사건을 “정권 실세가 지원해 주가를 띄운 주가조작 사건”으로 규정하고 “총리실, 지식경제부, 외교통상부 관계자를 모두 출석시켜 의혹을 규명하기 위한 청문회를 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유선진당 박선영 의원도 “이 정권 들어 ‘자원외교’ 한다더니 실속은 없는 ‘깡통외교’를 했다”고 비판했다.
민주당 조경태 의원은 지식경제부 국감에서 “지난해 정부가 투자한 해외 광물자원 사업 270건 가운데 성공한 것은 17건에 불과하다”며 “진행 중인 사업은 153건, 실패한 사업은 100건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조 의원에 따르면 현 정부 들어 2008년 4월부터 지난 7월까지 외국과 체결한 자원개발 양해각서 30건 가운데 벌써 9건이 경제성 미흡이나 협상 결렬 등의 이유로 종료됐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