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장사정포 타격용 탄도탄, 대통령 특명으로 극비개발 중”
입력 2011-09-19 00:32
우리 군이 지난해 북한의 연평도 포격 이후 이명박 대통령의 특명을 받아 북한 장사정포를 무력화하기 위한 탄도탄 개발 사업을 극비리에 진행 중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민주당 안규백 의원은 18일 국방부와 국방과학연구소(ADD)가 올 초부터 ‘번개사업’이라 불리는 대통령 특명사업의 일환으로 북한 장사정포 대응 탄도탄 개발과 이 탄도탄을 유도하기 위한 항법장치인 의사위성 체계사업(GBNS)을 대외비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내년 6월이 목표 시한이며 대통령이 참석하는 대규모 시험발사 시험이 예정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장사정포 대응 탄도탄 사업은 사거리 100㎞를 목표로 한 지대지 탄도탄 미사일 개발사업으로, 산 뒤편 벙커에 있는 장사정포 타격을 위한 것이다. GBNS 사업은 북한의 위성항법장치(GPS) 교란에 대응하기 위해 지상에 의사위성(안테나)을 세우고 GPS에 보안카드를 설치해 탄도탄을 정밀하게 유도하는 것이다.
안 의원은 당초 국방과학연구소가 2013년 12월까지 핵심기술 개발을 목표로 했으나 지난 1월 핵심기술을 포함, 전체 체계 개발로 범위를 확대하면서 오히려 기간은 내년 6월까지로 단축해 실패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와 관련 감사원은 지난 5~6월 특명사업에 대한 감사를 진행, 개발 가능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 의원은 “사거리 2500㎞ 이상의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등만 대외비 사업으로 관리할 수 있다”면서 “이 두 사업은 대외비가 될 수 없는 만큼 공개 사업으로 전환해 사업·비용 타당성, 개발 가능성 등을 따져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