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경부, 예비전력 허위 발표했다… 전력거래소서 엉터리 보고로 단전 당일 24kW뿐
입력 2011-09-18 23:22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은 18일 기자회견을 열고 정전사태와 관련, “주무장관으로서 무한한 책임을 느낀다”면서 “자리에 연연하지 않고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는 게 공직자의 도리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자신의 거취와 관련, 사태 뒷수습을 한 뒤 사퇴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최 장관은 또 정전이 시작된 지난 15일 오후 3시 전력예비력은 당초 148만9000㎾라던 정부 발표와 달리 24만㎾에 불과했으며 이러한 차이는 전력거래소의 허위 보고로 인한 것이라고 밝혔다. 전국의 전력이 한꺼번에 끊기는 블랙아웃 직전까지 치달았던 셈이다.
이어 최 장관은 “(전력거래소의 비상상황 보고가 늦어) 전혀 대응할 시간이 없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최 장관 거취와 관련해 ‘선(先) 수습, 후(後) 사퇴’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최 장관이 이날 오전 임태희 대통령실장에게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혀 왔다”며 “이를 사실상 사의 표명으로 본다”고 했다. 다른 고위 관계자는 “19일부터 시작되는 국정감사는 일단 최 장관이 소화한다”며 당분간 장관직을 유지하게 될 것임을 시사했다.
청와대 측은 “지식경제부는 이번 사태 수습에 누구보다 노하우가 많은 부처이고, 동시에 사태를 초래한 당사자다. 이런 이중구조 때문에 (최 장관 거취에 대한) 해법이 간단치 않다”고 말했다. 또 “정확한 사태 파악이 우선”이라며 “국무위원을 감정에 따라 당장 물러나게 하는 건 옳지 않다”고도 했다. 최 장관이 당장 사퇴할 경우 업무공백이 불가피한 데다 국정감사를 앞두고 새 장관 물색과 인사청문회 실시 등 현실적 어려움이 있다는 점도 고려하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김황식 총리 주재로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번 사태 원인과 책임소재 등을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 총리실과 지경부, 행안부, 경찰청, 한국전력 등으로 정부합동점검반을 구성·운영키로 했다.
노석철 태원준 기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