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대학을 취업률로만 평가하나”… 예술계 비중 높은 대학들, 부실대학 선정에 잇단 반발

입력 2011-09-16 18:07


예술계 비중이 높은 대학들이 교육과학기술부의 부실대학 선정 기준에 반기를 들고 나섰다. 교과부 선정지표 중 하나인 취업률이 예술계열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교과부는 지난 5일 전국 대학 346곳을 평가해 43곳을 재정지원 제한 또는 학자금 대출제한 대학으로 선정했다. 전공학과가 100% 예술계열인 추계예대를 비롯해 재학생의 92%가 예체능계 학생인 부산예대, 전체 재학생 중 예술계열 학생이 각각 50%, 20%가 넘는 상명대와 목원대 등이 포함됐다.

부산예대는 2년 연속 대출제한 대학으로 선정되자 교과부를 상대로 행정소송을 제기할 방침이다. 지난해 부산예대는 재학생 충원율(74.7%)과 취업률(18%) 등 주요 지표가 교과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부실대학으로 선정됐다. 올해는 각종 수치를 한층 끌어올렸지만 낮은 취업률(19.4%)이 또다시 발목을 잡았다. 부산예대 이병철 행정지원처장은 16일 “지난해부터 교과부에 취업률 지표를 개선해 달라고 수차례 요구했지만 묵살 당했다”며 “교과부를 상대로 소송도 불사하겠다”고 말했다.

추계예대는 지난 8일 교수진이 전원 사퇴의사를 밝혔다. 학교 곳곳엔 ‘예술대학을 취업률의 잣대로 평가한 몰상식에 분노한다’ 등의 플래카드가 붙었다. 최근 학생들은 인사동과 홍대 등지에서 1인 시위도 시작했다. 추계예대 영상시나리오학과 김영선(23·여)씨는 “교과부 선정 기준에 취업률이 포함돼 있다는 사실 자체가 대학을 취업학원으로 단정 지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목원대에서도 반발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목원대 관계자는 “정원의 21%가 예능계열이라 건강보험 적용 업종에 취업하는 경우가 적을 수밖에 없다”며 “대학별 특성을 반영하지 않는 지표가 무슨 의미가 있나”라고 말했다.

교과부는 내년부터 취업률 산정에 현행 건강보험 직장가입자로 추산하는 방식 외에 국세청 데이터베이스도 연계해 프리랜서도 취업률에 반영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올해 선정된 대학들에 대해 교과부 관계자는 “취업률 외 다른 지표도 문제가 돼 부실대학으로 선정된 것”이라고 일축했다.

정부경 기자 vic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