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임기말 측근 비리 위험 수위 달했다

입력 2011-09-16 17:44

이명박 대통령 집권 이후 지근거리에서 핵심참모로 활약한 김두우 청와대 홍보수석이 부산저축은행 핵심 로비스트인 박태규씨로부터 거액을 받은 혐의로 검찰에 조만간 소환된다. 이 대통령의 사촌형과 그 아들 2명도 대통령의 이름을 팔아 이권사업 투자 명목으로 거액을 챙긴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집권 4년차에 측근·친인척 비리가 잇따라 터지면서 이 대통령의 핵심 국정철학인 ‘공정사회’가 무색해지고 있다. 금년 들어 이 대통령 측근인 배건기 청와대 감찰팀장과 최영 강원랜드 사장, 장수만 방위사업청장이 비리로 물러난 데 이어 지난 5월 은진수 감사위원이 부산저축은행 퇴출저지 로비에 연루돼 구속되는 등 주변에서 비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여기에다 김 수석 혐의가 사실로 드러날 경우 현 정권은 도덕성에 치명적인 흠을 남기게 된다.

청와대는 지난 5월 은 전 위원 사건 직후 친인척 측근에 대한 비리감찰을 사후 조치에서 사전 예방 활동을 강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한다고 발표했으나 김 수석 사건과 사촌형 비리가 또 터져 나왔다. 이번 사건은 임기 후반에 접어든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 동력을 크게 약화시키고 더불어 레임덕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전두환 전 대통령부터 시작해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역대 대통령들 대부분이 4년차에 아들을 비롯해 측근 및 친인척의 권력형 비리로 큰 곤욕을 치르고 역사에 오점을 남긴 채 청와대를 나왔다. 이 대통령도 그 전철을 밟는 것 같아 안타깝다.

이 대통령은 부산저축은행 비리를 ‘돈과 힘을 가진 이들의 용서받지 못할 행위’라고 규정한 바 있다. 청와대 실세인 홍보수석이 검찰에 소환되는 마당에 그 어떤 성역도 두어서는 안 된다. 시중에는 “김 수석이 현 정권에서 비리를 저지른 마지막 실세일까?”라는 말이 나돈다. 이 대통령의 ‘공정사회’ 강조에도 불구하고 민심은 진정성을 의심한다는 이야기다. 김 수석이 비리혐의로 검찰 소환을 받는 현 정부의 마지막 실세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