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신입사원 연봉 5년내 원상 회복… 재정부, 7월부터 소급 적용키로
입력 2011-09-15 18:23
글로벌 금융위기로 2009년 입사자부터 대폭 삭감됐던 공공기관 신입직원의 연봉이 임금인상률을 높이는 방식으로 회복될 전망이다.
기획재정부는 2009년 이후 입사자들의 임금인상률은 올리고 기존 직원의 임금 인상은 낮추는 방식으로 공공기관 예산집행지침을 개정할 방침인 것으로 15일 알려졌다. 이는 정부가 2009년부터 공공기관 신입직원 초임을 평균 15% 깎으면서 발생한 기존 직원과의 임금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다.
재정부는 이르면 다음 주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서면의결을 거쳐 예산집행지침을 개정해 7월 1일부터 소급 적용할 계획이다. 정부는 당초 입사 2년차부터 3∼5년에 걸쳐 임금 격차를 단계적으로 없앨 예정이었지만 신입직원이 적은 공공기관을 감안해 2∼5년으로 조정기간을 늘렸다.
또 정부는 양대 노총이 주장한 공공기관 신입직원 초임의 원상회복을 받아들이지 않고, 현행을 유지하면서 매년 임금인상률만 반영하기로 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이들 임금을 7∼8% 인상하고 기존 직원 임금인상률을 0.5% 포인트 낮춘 3.6% 정도로 하면 올해 4.1%인 공공기관 임금인상 지침을 맞출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김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