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면산 산사태 원인] 결국 미봉책… 내년 여름도 걱정된다
입력 2011-09-15 18:05
우면산 산사태 원인조사단은 앞으로 산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내놨다. 하지만 실효성이 떨어져 ‘사후약방문식 대책’마저도 미봉책에 가깝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조사단은 15일 우면산 복구대책으로 군부대 방류구와 서울시가 설치하는 사방시설을 연결할 것을 제안했다.
또 계곡부에 인접한 나무는 가급적 잘라내 폭우로 나무가 뽑혀 산사태가 일어나는 상황을 최소화하도록 당부했다. 아울러 서울 시내 산 전체에 대한 기본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체계적인 관리를 하고 주택지 인근 절개면, 옹벽 등에 대한 위험등급별 관리가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산림 지역의 배수체계도 정밀 조사해 용량을 확대하라고 주문했다.
시는 이런 대책을 현재 진행 중인 산사태 피해복구에 반영, 내년 장마철 이전인 5월까지 복구공사를 완료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40여일간 전문 조사단을 가동해 내놓은 대책치고는 구체적 대응 방안이 담겨 있지 않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특히 전문가들은 산과 거주지 사이에 저류시설을 마련하는 게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여운광 명지대 토목환경공학과 교수는 “주로 산사태 방지 쪽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피해방지 대책이 미흡하다”며 “물을 아래로 내려 보내는 시설을 갖추는 데 중점을 두면 산 아래쪽 거주지 인근으로 물이 몰려 피해가 커지는 만큼 산 중간 중간에 저류시설을 대폭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우면동 형촌마을의 생태저수지가 범람하면서 산사태 피해가 커졌는데도 시는 이에 대한 뾰족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했다. 최광빈 시 푸른도시국장은 “저수지 기능을 복원해야 할지, 사방댐으로 만들어야 할지를 지역 주민들과 논의해야 한다”며 “이런 지역이 또 있는지 전수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우면산 정상부에 있는 군부대의 배수로에서 인근 사유지로 연결되는 배수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문제를 해결할 근본적인 대책도 빠져 있다. 정형식 조사단장은 “군부대가 10개 방류구를 펜스 밖으로만 빼놨는데 (이와 연결되는) 배수시설이 없다”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