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 총회 이슈 분석-(3) 예장 통합] 안티 기독교·수쿠크법 등 대처 방안 관심

입력 2011-09-13 17:24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은 오는 19일부터 23일까지 충북 청주 상당교회에서 제96회 총회를 개최한다. 예장 합동과 함께 한국교회에서 쌍벽을 이루고 있는 매머드급 교단인 예장 통합(8000여 교회, 2만여 목회자, 280만 성도)의 이슈를 살펴보면 한국교회 축소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헌의안으로 올라온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문제나 기독교 안티세력 대처, 수쿠크법 대책위원회 설립, 교과서 문제, 한국찬송가공회 정상화 방안, 이단·사이비 대책 등은 모두 교단을 넘어 한국교회가 풀어야 할 숙제이기 때문이다.

이번 총회에서는 한기총과의 관계 설정 문제를 두고 열띤 공방이 예상된다. 서울노회를 비롯해 서울동노회, 경북노회, 대구동남노회, 대전서노회, 경안노회, 강원노회 등 11개 노회가 탈퇴부터 재정지원 보류, 결의문 채택까지 한기총 개혁을 위한 총회 차원의 조치를 해 달라고 의견을 내놓았다.

그러나 길자연 한기총 대표회장이 특별총회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얻은 데다 지난달 26일 서울중앙지방법원 판결을 통해 대표회장 자격이 완전 회복된 상태여서 그 파급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기총이 진통 끝에 정상화된 마당에 문제의 당사자이기도 한 예장 통합이 발목만 잡는다는 인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안양노회와 서울 강동노회에서는 기독교에 대한 악의적인 공격에 대처할 수 있는 안티기독교 대책위원회를 구성해 달라는 안을 내놓았다. 평북노회에서는 이슬람 채권법 반대를 위한 대책위원회를 설치하고 저지 운동에 나서 달라는 의견을 내놓았으며, 충북노회에선 기독교 활동사가 국사 교과서에 수록될 수 있도록 위원회나 기구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다. 순천남노회는 전국 신학대에 이단대처 과목을 개설해 달라는 헌의안을 내놓았다.

교단 문제도 다수 나왔다. 가장 큰 이슈는 부총회장 선거제도 변경과 임시목사 제도 변경이다. 금권선거를 막기 위해 현재의 직선제에서 ‘직선제+제비뽑기’로 변경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1차 투표는 직선제로 하고 과반수 이상의 득표자가 없을 경우 전 총회장들이 제비뽑기로 부총회장을 선출하자는 것이다.

임시목사 명칭 변경 건은 16개 노회에서 봇물처럼 터져 나올 정도로 관심이 높다. 교회에서 위임 받지 못한 임시목사는 교회에서 3년마다 연인청원을 해야 하는데 호칭을 담임목사나 시무목사로 바꾸고 이들의 법적 보호를 위해 헌법을 개정해 달라는 것이다.

한편 예장 통합 총회는 2년 전 이미 세계교회협의회(WCC) 제10차 총회 준비위원회를 구성했기 때문에 WCC총회와 관련된 안건은 올라와 있지 않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