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부업체 방송광고 너무 심하다

입력 2011-09-13 17:43

지난 한 해 유료방송의 대부업체 광고 매출이 전년보다 150억원이나 늘어난 482억원으로 집계됐다고 한다. 대부업 광고를 하지 않는 어린이 채널 등을 제외한 42개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를 대상으로 집계한 것이다. 한나라당 안형환 의원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제출받아 어제 공개한 국정감사 자료로 밝혀진 것이다.

경기가 살아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대부업체의 방송 광고가 늘어난다는 것은 결국 서민들의 가계만 더욱 힘들게 할 가능성이 많다는 의미다. 살림살이가 어려워지니 서민들은 이자는 비싸지만 비교적 쉽게 돈을 융통할 수 있는 대부업체를 찾을 필요성이 많아진다. 그러다보니 수익에 민감한 대부업체가 광고를 늘린 것으로 볼 수 있다. 문제는 대부업 광고를 무차별적으로 허용하다 보니 대다수가 서민인 이들에 대한 보호 장치가 미흡하다는 데 있다.

은행의 높은 장벽에 막혀 대부업체 이용 서민들은 해마다 늘어 지난해 말 기준으로 220만명에 달한다. 대출규모도 2007년 4조1000억원이었던 것이 지난해에는 7조5000억원으로 무려 82.9%나 늘어났다. 순익감소로 줄어들기는 했지만 전국적으로 1만4000여 대부업체가 성업 중이다.

이 가운데 자산규모가 100억원 이상인 대형 대부업체의 대출금이 6조5600억원으로 전체의 86.7%를 차지한다. 더욱 큰 문제는 이들 대형 업체가 유명 탤런트나 스타 운동선수 출신 등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인사들을 모델로 고용해 서민들을 유혹하고 있다는 점이다. 케이블을 틀기만 하면 이들이 광고모델로 등장해 마치 돈을 공짜로 주는 것처럼 말해 불쾌하기 짝이 없다는 지적이 많다.

과도한 대부권유행위는 결국 서민피해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당국은 대형 대부업체의 광고에 허위나 과장이 없는지 더욱 눈을 크게 뜨고 감시를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 아울러 대부업체를 이용하는 금융소비자들도 절제와 절약을 통해 최선의 선택을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