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맞이 대통령과의 대화] 평화 전제돼야 남북정상회담 가능

입력 2011-09-09 01:43

이명박 대통령은 8일 남북정상회담에 대해서 언제든 할 수 있지만 무조건 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임기 중에 남북정상회담을 할 수도 있고 안할 수도 있다. 정상회담을 한다면 한반도에 평화를 가져오고 도발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있고 그 기본 위에서 협력하자는 것”이라고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 대통령은 “내가 앞장서 북한을 세계와 함께 도와서 경제도 살리고 안보도 유지시켜주려는 욕심이 있다”면서 “그것이 진정한 정상회담의 의제”라고 말했다. 또 “그런 것이 없이 정상회담을 한다면 그게 무슨 도움을 주겠느냐”며 “정상회담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라 원칙적으로 남북이 정상적 관계로 오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남·북·러 가스관 연결사업에는 낙관적으로 설명했다. 그는 “북한과 러시아가 (가스관 연결을) 이야기하고 있고, 우리와 러시아와도 진행을 하고 있다”며 “이 사업은 러시아와 북한에도 도움이 되고 (우리도) 값싸게 가스를 들여올 수 있는 만큼 되기만 하면 아주 좋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국민들이 (북한이) 금강산도 자기 것이라고 하는데 언제 가스를 끊을지 모른다고 걱정하는 걸 안다”면서 “북한의 가스관 중단 책임은 러시아가 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가스가 중간에서 끊어지면 북한도 손해고, 팔 데가 없는 러시아도 손해”라면서 “파이프를 이용한 가스가 30%가량 저렴한데 (선박을 이용해) 도착가격이 동일하게 하는 것을 러시아와 논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경북 포항이 고향인 이 대통령은 “울릉도는 고향 땅”이라며 “언제든 (독도를) 방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강경 대응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이 대통령은 “일본 사람들이 독도를 자기 땅이라고 주장하고 교과서에 쓰지만, 알 만한 사람은 그게 한국 영토가 맞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제주도를 우리 땅이라고 하는 것과 독도를 우리 땅이라고 하는 것은 같다”면서 “그것을 갖고 (일본과) 싸울 일이 있겠는가. 주인은 가만히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남중 백민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