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추가지원 ‘담보 설정’ 무산… 伊 노동연맹 탈세 규제 반대 8시간 총파업

입력 2011-09-07 21:26

그리스 추가 지원 시 담보를 설정할지 여부를 두고 독일, 네덜란드, 핀란드 재무장관이 6일(현지시간) 베를린에서 만났으나 별다른 소득을 얻지 못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얀 케이스 드예거 네덜란드 재무장관은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어떠한 합의도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핀란드의회는 그리스 추가금융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그리스의 담보를 설정해야 한다는 것에 의결한 바 있다.

독일과 핀란드 재무장관은 이에 대해 다소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WSJ는 전했다. 드예거 장관은 “유로존 17개국 모두에 적용되고 받아들여질 수 있는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담보 문제 논의에 대한 마감시한은 없지만 최소한 법적인 문제 등을 고려할 때 9월 말까지는 타결되기 힘들 것으로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담보 문제는 가뜩이나 복잡한 그리스 구제금융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유로존 국가나 국제통화기금(IMF) 모두 골치 아픈 문제로 바라보고 있다.

정부가 본격적인 재정 감축 계획에 들어간 가운데 이탈리아 최대 노조인 이탈리아노동연맹(CGIL)이 6일 8시간 동안 총파업에 돌입했다. 사용자단체는 탈세 규제 강화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히는 등 재정 감축에 저항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일련의 조치에도 국채 이자율이 급등하고 시장의 불신이 커지자 이탈리아 정부는 연간 소득 50만 유로 이상인 고소득층에 대해 3%의 추가소득세(부유세)를 신설하고, 부가가치세율을 20%에서 21%로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이달 중순 만기가 돌아오는 상당량의 국채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면 이탈리아 경제도 그리스의 전철을 밟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독일 헌법재판소는 7일 독일의 유로존 구제금융 지원이 합헌이라는 판결을 내렸다. 단 앞으로 지원에 참여할 경우 연방의회 예산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명시했다. 이번 판결은 29일로 예정된 독일 의회의 유럽재정안정기금(EFSF) 확충안 투표에 앞서 나왔다는 점에서 향후 전망을 밝게 한다. 독일 증시는 이날 6% 상승하며 장을 시작하는 등 4거래일 만에 활기를 띠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