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 대학 규제... 미션스쿨 대책 마련 부심
입력 2011-09-06 15:58
[미션라이프] 전국의 신학대가 정부의 대학 구조조정 후 폭풍으로 술렁이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대학구조개혁위원회 발표 이후(본보 9월6일자 1, 6면 참조) 신학대들은 “지방 소재 신학대의 특수성을 고려한 기준을 다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DB)를 토대로 추정한 취업률 산정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목회자나 교회 종사자들은 대부분 건보 DB에 잡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번 평가를 피해간 신학대도 취업률과 학생 충원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느라 고심하는 표정이 역력하다.
이번에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곳은 기독교한국루터회 소속 루터대와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목원대, 선교청대(구 성민대)다. 3개 대학은 정부 재정지원 중단뿐만 아니라 내년 신입생이 등록금의 70%까지만 등록금 대출 제한을 받는다. 특히 루터대와 선교청대는 2년 연속 대출제한 대학에 선정돼 2학년 학생까지 대출제한을 받게 됐다.
허흥호 목원대 경영전략실장은 “교과부에서 특성화 대학을 추구하라고 해서 음악과 미술에 중점을 뒀지만 결과적으로 건보 DB를 기준으로 하는 취업률 산정에 잡히지 않아 이런 결과가 나왔다”면서 “심사과정에 항의할 것은 하고 나름대로 전략을 짜서 조만간 안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루터대 관계자는 “지금 뭐라고 이야기 할 상황이 아니다”면서 “회의를 갖고 있지만 뾰족한 방향이 나온 것도 아니다”고 말했다.
그리스도대와 서울기독대, 평택대, 고신대, 협성대도 정부재정지원 제한 대학에 포함됐다. 그나마 다수의 신학대가 이번 평가를 피해간 것은 졸업생 예외 규정 때문이다. ‘종교지도자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대학 중 재학생 비율이 25% 이상인 경우’ 해당 학과가 판정기준에서 제외됐다. 이에 따라 감신대 서울장신대 영남신대 서울신대 총신대 장신대 침신대 한일장신대가 혜택을 봤다.
서울기독대 기획관리처 관계자는 “선교를 목적으로 하는 5개 학과 중 신학과만 빼고 이번 취업률 산정에 들어갔다”면서 “무용학과 등 학교 특성상 교계로 진출하는 졸업생들이 많은 데 종교지도자 양성규정에 해당되지 않아 혜택을 못 봤다”고 하소연했다. 이 관계자는 “이렇게 낙인을 찍으면 누가 학교에 오겠냐”면서 “이렇게 가다간 기독교 선교 목적으로 건립된 소규모 학교는 쓰러질 수밖에 없다”고 항변했다.
이번 평가에 포함되지 않은 지방 모 신학대 관계자는 “신학과가 아니더라도 교회음악과나 상담학과는 교계로 진출하는 경우가 많은데 취업자로 잡히지 않아 불이익을 당하고 있다”면서 “이렇게 낙인부터 찍어놓으면 내년부터 신입생 선발에 치명타를 입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방의 신학교들은 편입학 시즌만 되면 재학생들이 물밀 듯 빠져 나간다”면서 “수도권과 지방, 일반대와 신학대 간 평가방법을 달리하지 않는다면 평가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는 졸업생 취업률과 학생 충원율 때문에 내년에도 비슷한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민일보 미션라이프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