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구조조정 시동] 비상 걸린 대학들… 취업률 높이기 등 대책 부심
입력 2011-09-05 21:56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된 대학들은 비상이 걸렸다. 대학들은 당분간 취업률, 전임교원확보율, 장학금지급률 등 각종 평가지표를 올리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대학 평가가 매년 실시되는 만큼 이들 대학이 자구적인 노력을 통해 지표를 개선하면 다음 해 재정지원 참여 가능 대학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대학은 교과부의 평가지표가 각 대학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았다고 반발했다.
원광대는 5일 3시간에 걸쳐 전체비상교직원총회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다. 원광대 김진병 기획처장은 “내년도 지표 평가에 대비해 장학금지급률 등 주요 지표를 올릴 수 있도록 예산 편성을 다시 할 예정”이라면서 “법인에서도 지표 상승을 위한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학자금 제한대출 그룹에 포함된 목원대도 이날 비상회의를 소집했다. 목원대 경영전략실 관계자는 “현재 구조조정 방안의 큰 틀을 짜고 세부계획을 수립 중”이라면서 “최종 합의가 이뤄지는 대로 발표해 이번 학기 중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단 목원대는 당분간 취업률과 재학생충원율 등 기본적인 지표들을 올리는 데 집중하기로 했다. 그러나 또 다른 목원대 관계자는 “우리 학교는 입학정원의 21%가 예능계열로 졸업 후 취업률 산정 기준인 직장보험 적용 업종에 취업하는 경우가 적다”며 “대학별 특성을 반영하지 않는 지표가 무슨 의미가 있나”라고 반발했다.
재정지원 제한 리스트에 오른 상명대도 예능계열 재학생 비율이 높은 만큼 낮은 취업률이 발목을 잡았다. 상명대는 올해 취업 대상자 1177명 가운데 520명만 취업했다.
학자금 최소대출 그룹에 포함된 명신대는 이번 발표와 관련해 교과부에 이의신청을 낸 상태다. 명신대 사무처 관계자는 “대출제한 관련 공문을 받은 뒤 교과부 지표 선정에 대한 기준이 불명확하다고 판단했다”며 “세부지표 어느 부분에서 우리 대학이 미달 판정을 받았는지 등에 대한 설명이 전혀 없었고 교과부의 일방적인 통보에 대한 소명기회조차 갖지 못했다”고 말했다.
한편 교비횡령 비리로 한차례 몸살을 앓았던 성화대도 최소대출 그룹에 포함되면서 위기에 처했다.
정부경 기자 vic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