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출신 日 징용자 26만명 배속처 첫 확인
입력 2011-09-04 18:44
한 일본인 학자가 제2차 세계대전 기간 한반도에서 일제에 강제 동원된 군인·군속 26만여명의 배치상황 전모를 확인한 논문을 발표했다. 한반도 출신 징용자의 배치상황이 이처럼 대규모로 밝혀진 것은 처음이다. 논문에는 미지급된 급여에 관해서도 기재돼 있어, 한국인 강제동원 피해보상 문제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3일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근대사 연구학자인 다케우치 야스토(竹內康人)씨는 1993년 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에 넘긴 일본 구육군 부재자명부(16만148명), 구해군 군인군속명부(10만778명) 등을 참고해, ‘조선인 군인·군속 명부로부터 본 조선인 동원 상황’이라는 논문을 작성했다. 다케우치씨는 일본에서 징용자 명단이 공개되지 않자, 2009년부터 우리나라 국가기록원에서 자료를 열람해 논문을 완성했다.
한반도 출신 징용자는 육군의 경우 한반도에 6만2000여명, 중국(구 만주와 대만 포함)에 4만3000여명, 일본과 남방전선에 각각 2만명과 1만4000명 등이 배치됐다. 해군은 한국 진해에 약 2만1000명, 일본 요코스카(橫須賀) 사세보(佐世保) 등의 군항에 약 8만명이 배속됐다.
서울(경성) 용산에서 편성된 보병 제20사단은 뉴기니로 파견됐다. 이 사단 보병 78·79·80 연대에1140명의 한반도 출신 징용자가 배속돼 있었다. 이 가운데 1000명 이상이 전사했다.
일본 제2복원국은 패전 뒤 한반도 출신 군인·군속을 약 36만명으로 집계했고, 후생노동성은 24만여명으로 집계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현재까지도 징용자 명단에 대해 비공개 방침을 세워놓고 있어 확실한 징용자수는 확인할 길이 없다.
양지선 기자 dyb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