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북정책 업그레이드 필요”
입력 2011-09-01 22:07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1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박근혜식’ 대북관과 외교관을 직접 밝혔다. 지난달 미국 외교전문지 ‘포린어페어스’ 9·10월호에 기고문을 게재한 배경과 내용을 설명한 것이다.
박 전 대표는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원칙을 지키려고 많이 노력해 왔다”고 평가한 뒤 “안정적이고 발전적인 대북정책을 위해선 한 단계 업그레이드돼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기고문에서 밝힌 ‘신뢰외교와 균형정책’과 관련, “대북정책을 펴 나가는 방식에 있어서 유연할 때는 유연하게, 강하게 할 때는 단호하게 함으로써 안보와 교류협력, 남북관계와 국제공조와의 균형을 찾는다는 점에서 (현 정부 정책과) 다르다”고 했다. 지금까지 현 정부 대북정책에 대한 언급을 자제해 왔던 그가 본격적으로 자기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대목이다.
박 전 대표는 안보를 강조하면서도 남북 대화나 전술핵 등 이슈에는 상당히 전향적이고 유연한 입장을 내놔 눈길을 끌었다. 먼저 천안함·연평도 도발과 관련, “(우리) 국민이 납득할 만한 북측 조치가 없다면 아무리 노력해도 남북관계의 실질적이고 의미 있는 관계를 이뤄나가기 어렵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의미 있는 조치가 남북관계의 전제조건이 돼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그게 아니고, 그렇지 않으면 국민이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라고 답했다. 측근은 “북의 조치가 나와야겠지만, 없다고 북과 대화의 문을 아예 닫자는 것은 아니다”고 부연했다.
박 전 대표는 “전술핵을 우리나라에 들여오는 게 최선의 대안은 아니다”며 “핵 없는 한반도는 미래 세대를 위해 반드시 우리가 실현해야 할 가치”라고 말했다. 한·미 동맹을 통해 신뢰할 수 있는 정도의 실효적 확장억지력(핵우산)이 작동하고 있고, 기술이 발달해 전술핵이 우리 영토 안에 있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정몽준 전 대표 등은 전술핵 재배치를 주장해 왔다.
김나래 유성열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