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승부수는 국감후에… ‘박태규 커넥션’ 퍼즐맞추기 돌입
입력 2011-09-01 18:42
검찰이 ‘박태규 커넥션’의 퍼즐 맞추기에 돌입했다. 로비스트 박씨의 통화 내역, 압수한 각종 메모, 부산저축은행 경영진 수사기록 등 간접 증거의 조각들을 박씨의 진술과 맞춰 로비 몸통을 쫓는 작업이다. 검찰은 시간을 두고 충분한 검증 작업을 벌여 국정감사가 끝나는 다음 달부터 본격 승부를 본다는 전략이다.
검찰은 1일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박씨를 다시 불러 부산저축은행으로부터 전달 받은 10억원 이상의 자금 용처를 추궁했다. 박씨는 로비 의혹을 대부분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는 특히 부산저축은행이 지난해 6월 1000억원 유상증자를 성사시킨 것과 자신은 무관하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오늘부터 돈을 어디에 썼는지 본격적으로 묻고 있다”며 “박씨의 태도는 협조적인데, 내용은 협조적이지 않다”고 전했다.
검찰은 최대한 신속히 수사를 진행할 계획이지만 몇 가지 변수가 있다. 우선 정기국회 회기가 시작됐다. 박씨 입에서 현역 국회의원의 이름이 튀어나와도 해당 의원이 소환조사에 응하지 않을 경우 구인 등 강제수사를 하기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오는 19일부터 3주간 국정감사가 열리고, 검찰 역시 피감기관이라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최재경 대검 중수부장은 “정치일정이 수사에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국정감사는 지나야 하지 않겠나”고 말했다. 검찰로서는 국회가 지난달 23일 사법제도개혁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을 통과시킨 것도 부담이다. 정치권에 대한 수사 강도가 셀 경우 국회의 중수부 폐지 논의도 빨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현 정권 유력 인사에 대한 수사는 어떤 식으로든 이명박 대통령의 레임덕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검찰 외부의 압박이 심할 수 있다. 이미 여야는 각기 목소리를 내며 검찰 수사에 ‘훈수’를 두고 있다.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캄보디아에 수천억원이 유출된 것과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반드시 같이 수사해 그 배후가 누구인지 꼭 밝혀줄 것을 당부한다”며 은근히 전 정권 인사를 겨냥했다.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는 “저축은행을 둘러싼 현 정부 권력 핵심들의 비리를 낱낱이 파헤쳐 발본색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부장은 “KTB자산운용을 통한 유상증자 과정, 캄보디아와 전남 신안 개발 등에 투입된 자금 추적 관련 수사도 동시에 진행 중”이라며 “시간이 좀 걸릴 것 같다”고 말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