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퇴 불가” 곽노현 버티기 파장… 보수·진보 갈등 심화-교육현장 정책 혼선
입력 2011-09-01 21:50
곽노현 서울시교육감이 1일 ‘사퇴불가’ 의지를 밝히며 2억원 파문을 정면 돌파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보수 진영이 곽 교육감을 맹비난하는 가운데 진보 진영에서는 ‘곽노현 지키기’ 목소리가 확산되고 있다. 곽 교육감의 거취를 둘러싼 논란이 보수·진보 다툼으로 비화되면서 교육현장의 갈등도 더욱 심해질 전망이다.
곽 교육감은 시교육청 월례 조회에서 “이미 총체적 진실을 이야기했다”며 “더욱 막중한 책임감과 신중함으로 교육감직 수행에 임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28일 기자회견에서 “선의로 박명기 서울교대 교수에게 2억원을 건넸다”고 말한 이후 첫 공식 입장이다. 쏟아지는 사퇴 압력에도 불구하고 교육감 자리에서 물러나지 않겠다는 의사를 확실히 한 것이다.
보수 진영의 교육·시민단체는 곧바로 곽 교육감을 맹비난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김동석 대변인은 “곽 교육감은 반부패를 내세우면서 일선 학교의 작은 문제도 강력히 징계했다”며 “법적 판단 이전에 도덕성, 권위가 무너졌기 때문에 책임 있는 행동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나라당은 김기현 대변인 성명을 통해 “도덕감각이 마비되지 않고는 나올 수 없는 언행”이라며 “사법부의 판단을 기다리며 임기를 채워보려는 건 추태의 연장일 뿐”이라고 밝혔다. 반면 곽 교육감의 사퇴를 반대해 온 민주당 전병헌 의원은 “법으로 보장된 항변의 기회를 박탈해선 안 된다. 정치적 유불리를 떠나 어떤 것이 법치주의 원칙에 맞는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진보 진영은 전열을 가다듬고 있다. 지난해 교육감 선거에서 곽 교육감을 도왔던 인사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해 후보 단일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공개하며 단일화에 앞서 사전 합의가 있었다는 박 교수 측 주장을 정면 반박했다.
교육계는 어수선하다. 곽 교육감이 추진한 체벌금지, 무상급식, 학생인권조례 제정 등은 워낙 찬반이 엇갈리는 이슈여서 사퇴 여부가 결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서울 강북의 한 초등학교 교감은 “교육감이 가장 자신하던 ‘청렴’이 타격을 받으면서 추진했던 정책이 동력을 잃을 것”이라며 “교육 행정이 정상적으로 이뤄질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중앙지검 공안1부(부장검사 이진한)는 곽 교육감이 박명기 후보를 매수할 의사가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지난해 5월 18일 서울 사당동 후보 단일화 협상 모임에 참석했던 이모 목사, 최모 서울대 교수를 불러 조사했다.
임성수 이용훈 김원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