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두달 간 10조 육박하더니… 연체율도 2년 만에 최고치
입력 2011-09-01 18:33
가계에 드리운 먹구름이 심상찮다. 지속적인 가계대출 증가세, 신용카드 연체율 상승 반전에 이어 이번에는 은행 가계대출 연체율이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7월 말 국내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1일 이상 원금연체 기준)이 0.77%로 전월 말 대비 0.05% 포인트 올랐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지난 2009년 2월(0.89%)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부동산 경기 부진으로 집단대출 연체율이 상승한 것이 가계대출 연체율 상승의 주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 대출 연체율은 7월 말 기준 0.69%를 기록했다. 이는 2008∼2009년 0.3∼0.4%대였던 것의 두 배가량 되는 수치다. 특히 2010년 이후 지난 4월까지 0.50%대였다가 그 이후 3개월 동안 급격히 치솟았다.
가장 큰 원인은 수도권 아파트의 분양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집단대출(중도금·잔금·이주비) 연체율이 증가한 것이다. 집단대출 연체율은 지난 4월 말 1.15%였지만 5월 들어서 1.70%대로 치솟았고 지난 7월 말에는 1.72%를 기록했다.
기업대출은 전월 말보다 0.25% 상승한 1.44%를 기록하긴 했으나 지난 5월 1.75%보다는 안정된 수준이다. 다만 중소기업 연체율(1.71%)은 대기업 연체율(0.40%)보다 4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금감원은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물가 상승 등에 따라 기업과 가계채무 상환 능력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은행별 연체율 동향과 취약 부문 부실화 가능성을 지속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최근 두 달간 가계대출 증가량이 무려 10조원에 달하고 지난 6월 말 기준 신용카드사 연체율이 2003년 카드대란 이후 처음으로 상승 반전하는 등 가계 상황에 대한 경고음이 연달아 나오는 데 대해 보다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함준호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금융당국은 가계가 부실해지는 원인 파악에 집중하고 은행들이 대출 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세분화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황세원 기자 hws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