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성범죄 꼼짝마” 보안관 뜬다… 서울시 10월부터 75명 투입
입력 2011-09-01 21:57
오는 10월부터 서울 지하철 성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지하철보안관’이 투입되고 전동차 안에 CCTV가 설치된다.
서울시는 시내 초등학교를 순찰하는 학교보안관을 도입한 데 이어 지하철 성폭력 범죄 등을 막기 위한 지하철보안관을 도입하는 내용 등의 지하철 범죄 안전대책을 1일 발표했다.
시는 지난달 공개채용 한 여성 3명을 비롯한 지하철보안관 75명을 오는 10월 지하철역과 전동차에 투입하기로 했다. 이들은 2주간 교육을 받은 뒤 2호선 서초역~신도림역 등 취약 구간 15곳을 중심으로 활동하게 된다. 내년에는 1∼4호선에 80명, 5∼8호선에 70명, 9호선에 21명 등 모두 171명의 지하철보안관을 운영할 계획이다.
지하철보안관은 2조 2교대로 오전 7시부터 지하철 운행이 끝날 때까지 3단봉과 디지털카메라를 휴대하고 전동차뿐 아니라 역사에서 단속 활동을 벌인다. 이들은 성추행범을 쉽게 잡아낼 수 있도록 출퇴근 시간대에 사복을 입고 전동차를 순찰한다. 이외 시간에는 제복을 착용한다.
지하철보안관은 성추행범 등을 적발, 지하철경찰대에 넘겨 형사처벌을 받도록 할 예정이다. 앞서 시는 지하철보안관에게 각종 범죄행위를 단속할 수 있는 특별사법경찰관의 권한을 주기 위해 법무부에 관련법 개정을 건의했다.
전동차 안에는 CCTV가 확대 설치된다. 시는 다음달부터 2호선 신형 전동차와 7호선 모든 전동차에 1칸당 CCTV를 2대씩 설치하고, 내년 하반기에는 1∼9호선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신설동역~성수역을 오가는 2호선 전동차의 4칸에만 CCTV가 설치돼 있다.
특히 시는 사생활 침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CCTV를 계속 모니터링 하지 않고, 승무원에게 비상통화 장치 등으로 도움 요청이 있을 때만 화면이 자동으로 켜지도록 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전동차 곳곳에 ‘CCTV 작동 중’이라는 안내 스티커를 붙여 예방 효과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또 현재 운영 중인 지하철 여자화장실 ‘비상콜폰’ 2642대, 전동차 내 비상인터폰 7028대, 승강기 비상전화기 1505대 등을 점검, 취약 지역에 추가 설치할 방침이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