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MB맨’ 류우익… 막힌 대북관계 뚫기 임무

입력 2011-08-31 00:49

4개 부처 장관을 교체한 8·30 개각의 초점은 통일부와 보건복지부다. 현 정부 초대 대통령실장을 지낸 류우익 전 주중대사가 통일부 장관으로 다시 이명박 대통령 곁에 돌아왔다. 또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로 ‘복지 논쟁’이 한층 뜨거워진 상황에서 복지 전문가 대신 경제관료 출신의 임채민 국무총리실장이 복지부 장관에 내정된 점도 눈에 띈다. 남북관계엔 변화를, 복지정책에선 포퓰리즘 견제를 추구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돌아온 류우익=‘이 대통령의 이데올로그(ideologue·이론가)이자 말동무’로 불리는 류 내정자는 올 초 주중대사를 그만둔 뒤 통일부 장관 기용설이 끊이지 않았다. 집권 후반기에 들어선 이 대통령이 천안함 사태 이후 중단된 남북 대화를 재개하고, 남북 정상회담 타진 등 핵심 임무를 맡길 만한 사람으로 가장 적합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 대통령은 지난 5·6 개각 때도 그를 통일부 장관에 기용하려다 ‘회전문 인사’에 대한 부담과 대북 원칙론을 고수한 현인택 장관을 교체할 경우 대북정책의 기조 전환으로 여겨질 수 있다는 지적을 받자 철회했다. 하지만 최근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까지 현 장관 교체와 남북관계 개선을 주문하고 나선 데다 부분적이지만 남북관계 회복 여지가 나타나면서 다시 류 내정자를 선택했다.

류 내정자는 이 대통령의 생각을 누구보다도 잘 읽는 사람, 현 장관에 비해 북한에 유화적인 인물로 평가된다. ‘원칙 있는 대화’라는 현 정권의 대북정책 기조를 유지하면서 관계 개선의지를 보여줄 수 있는 카드라는 것이다.

김두우 청와대 홍보수석은 “장관이 바뀌면 정책도 조금씩 바뀌지 않겠냐. 의지도 있고, 색채도 있으니까”라며 대북정책 변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도 “어떤 장관이 와도 북한이 먼저 천안함·연평도 문제를 사과해야 한다는 원칙은 바뀌지 않는다. 그러나 추진력을 갖춘 중량급 측근이 포진하면 어떤 형태로든 변화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예산을 아는 복지장관’=10월 서울시장 보궐선거는 물론이고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도 최대 이슈는 복지가 될 전망이다. 재정 건전성 강화를 부르짖는 청와대와 정부는 당·정·청 협의 때마다 선거를 의식한 한나라당의 복지 확대 요구에 제동을 거느라 애를 먹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보건복지부 장관에 경제관료 출신을 내정한 것은 복지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명확하게 보여준 것이다. 임 내정자는 산업자원부 산업기술국장, 지식경제부 제1차관 등을 지냈다. 복지 분야는 1년 동안 국무총리실장으로 부처 간 업무 조정을 하며 경험한 게 전부지만, 이 대통령은 일찌감치 그를 복지부 장관에 낙점해뒀다.

임 실장의 발탁은 ‘경제와 예산을 아는 복지부 장관’이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이라고 한다. 이 대통령은 글로벌 재정위기의 원인으로 무리한 복지정책을 지적했고, 광복절 경축사에서 2013년 균형재정 달성 목표를 제시했다. 이런 인식을 복지정책에 반영하고, 포퓰리즘에 제동을 걸려면 경제관료 출신이 적합하다고 본 것이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