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고용률 분석] 11년간 고용률, 부산 꼴찌·제주 1위

입력 2011-08-30 23:07


‘제2의 도시’ 부산에는 일자리가 없다. 전국 16개 광역 시·도 가운데 고용률이 최악이다.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다섯 해를 제외하고 매년 꼴찌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2007년부터는 4년 연속 바닥이다.

반면 제주는 한번도 1위 자리를 놓치지 않았다. 지난해 제주와 부산의 고용률 차이는 무려 10% 포인트가 넘었다. 다만 속 빈 강정이다. 제주는 고용의 질이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민일보가 전국 16개 광역 시·도의 11년 동안(2000∼2010년) 고용률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부산(2010년 기준 54.3%) 광주(57.0%) 대전(57.0%) 대구(57.0%) 순으로 고용률이 낮았다. 고용률은 15세 이상 생산가능인구 가운데 취업자 수 비중을 뜻한다.

고용률이 높은 지역은 제주(64.8%) 경북(62.5%) 전남(62.1%) 충남(60.4%) 등이었다. 농업이 주축인 농촌지역이거나 관광산업 발달, 기업 이전 등의 부수효과를 누린다는 특징을 보였다. 제주는 모든 연령대에서 고용률이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지난해 기준으로 60세 이상 고용률은 50.2%였다. 30대는 81.3%, 40대는 83.6%로 80%대를 보였다. 대신 고용의 질은 좋지 않았다. 관광서비스업이 주축인 탓에 임시직, 일용직이 많다.

수도권(서울 58.9%, 인천 59.3%, 경기 59.0%)은 전국 평균(58.7%)을 웃돌았다. 꾸준히 일자리가 생기고 인구가 유입되는 결과다.

지방 광역시들이 낮은 고용률을 보인 것은 수도권 집중에 따른 반대급부다. 특히 부산은 ‘종합선물세트’다. 생산가능인구 부족, 고령화, 산업기반을 갖춘 창원·울산 등으로 사람·기업이 빠져나가는 ‘빨대효과’ 등이 한꺼번에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문가들은 정부 일자리 정책의 초점을 불균형 해소와 균형발전 쪽으로 옮겨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주섭 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모든 지방자치단체가 기업 유치에만 목을 맬 것이 아니라 지역별 특성에 맞춰 지역경제를 살리는 근본적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찬희 선정수 조민영 기자 c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