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홍준표 “남·북·러 11월 협상”… 빅딜說 탄력
입력 2011-08-30 18:45
남북관계, 가스관 사업으로 물꼬 트이나
한·러, 북·러 정상 간에 합의된 남·북·러 가스관 연결을 매개로 남북관계가 급변할 것이란 관측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그것도 집권여당 대표 입을 통해 나온 것이어서 ‘11월 빅딜설’이 힘을 얻고 있다.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는 30일 인천에서 열린 ‘한나라 인천포럼’ 강연에서 “한국과 북한, 러시아 3자가 올 11월쯤이면 협상을 하게 될 걸로 안다”고 밝혔다. 그는 “실무협상 당사자는 한국가스공사 관계자일 수 있고 정부 당국자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또 “가스관 사업으로 남북관계에 새로운 지평이 열릴 수 있으며, 일단 북한이 문을 열면 김대중 정부 시절부터 추진해 온 TSR(시베리아횡단철도) 사업도 구체화될 수 있다”면서 “북한 철도 현대화 사업에 25억 달러 정도가 드는데 한·러가 공동 부담하는 문제도 논의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시베리아 가스를 남북 연결 파이프라인을 통해 도입하는 구상은 이명박 대통령이 현대건설 회장 시절인 1989년부터 해 왔고, 2008년 러시아를 방문해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과 양해각서를 체결하면서 구체화됐다. 당시 두 정상은 2015년부터 매년 757만t씩 러시아에서 천연가스를 선박이나 북한을 경유하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한국에 들여오기로 했다.
메드베데프 대통령이 최근 러시아를 방문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으로부터 긍정적 답변을 얻어냄으로써 가스관 연결 사업의 실현 가능성이 높아졌다. 홍 대표는 “북한 입장에선 가스관 통과비가 금강산 관광 및 개성공단 이익금보다 많은 연간 1억 달러 정도 되며, 우리는 러시아 가스가 들어오면 국내 천연가스 가격이 20∼30% 싸진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향후 30년간 900억 달러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윈-윈-윈’ 게임인 셈이다.
그러나 정부 분위기는 약간 다르다. 통일부 당국자는 “엄청난 재원이 들어가는 데다 남북을 연결하는 사업 특성상 남북 간 합의가 필수적인데 당장 가시적 효과가 나오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여권은 내년 총선·대선을 앞두고 현 남북관계를 대결에서 화해 국면으로 전환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이런 가운데 천안함·연평도 사건에 좀더 유연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의견이 정부 기관에서 나왔다. 김태우 통일연구원장은 언론 인터뷰에서 “정부 대 정부 차원의 사과를 요구하기보다는 1.5트랙(반민반관), 즉 정부는 아니지만 완전한 민간도 아닌 차원에서의 사과를 요구해도 괜찮다”고 했다.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범여권의 물밑 움직임이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이흥우 선임기자 hw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