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걱정되는 일본 신임 총리의 극우성향

입력 2011-08-29 19:04

일본에 새 총리가 탄생했다. 어제 현 여당인 민주당 대표 경선에서 승리함으로써 오늘 열리는 중의원·참의원 총리 지명 선거를 거쳐 95대 총리에 취임하는 노다 요시히코 재무상이다. 노다 재무상은 마에하라 세이지 전 외무상과 함께 민주당 주류가 미는 차기 총리 후보감으로 일찍부터 꼽혀온 만큼 예상 못한 일은 아니다. 또 집권당이 바뀌는 것도 아니므로 일본 정부의 정책에 큰 변화가 예상되지도 않는다.

그러나 막상 그가 새 총리로 확정된 지금 한·일관계 등 대외관계 측면에서 일본의 앞날이 자못 걱정스럽다. 그의 역사인식이나 정치 성향이 ‘극우’라 불려도 어색하지 않을 정도로 보수적이기 때문이다.

노다 재무상은 이미 여러 차례 강렬한 우익 색채를 드러내 물의를 빚었다. 최근에만 해도 그는 지난 15일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된 A급 전범들이 “전쟁범죄자가 아니며 따라서 신사참배 반대 논리도 사라졌다”고 했던 자신의 2005년 주장에 변함이 없다고 망언을 해 한국 정부는 물론 일본 언론과 민주당 내부로부터도 비난 받았다. 또 그에 앞서는 “전후 교육의 왜곡을 바로잡겠다”며 교육 문제에서도 보수색을 드러냈고,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가 하면 영주 외국인 참정권 부여에도 내놓고 반대해 왔다.

물론 노다 재무상에게는 새 총리로서 엔고 저지, 세금 인상, 재정적자 해결 등 당장 풀어야 할 국내적 난제가 산적해 있다. 그런 만큼 대외 문제에는 신경을 많이 쓸 여지가 별로 없어 보인다. 아울러 일단 오자와 이치로 전 간사장파를 물리치고 민주당 대표가 되기는 했지만 각종 정책을 둘러싼 당내 노선 갈등이 극심해 단명으로 끝날 것이라는 분석도 적지 않다. 그럼에도 그가 길든 짧든 재임 중 야스쿠니 신사 참배 등을 통해 한·일 간 갈등을 더 악화시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한·일관계는 그렇지 않아도 최근 독도 문제를 놓고 일본 정부와 일부 국회의원이 보여준 행태와 함께 우익세력의 반한류 시위 등으로 인해 찬바람이 불고 있다. 노다 재무상의 총리 선출이 이런 일본 내 움직임을 강화하는 기폭제가 돼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