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비리 제보 폭주… 감사원 콜센터 불났다

입력 2011-08-29 18:57

‘등록금을 전용해 재단의 법정전입금으로 납부했다’ ‘총장이 개인적 비용을 교비로 집행했다’ ‘학교 소유 건물의 임대수익을 재단 재정에 편입시켰다’ 등등.

감사원에 교육 관련 비리 신고가 몰리고 있다. 감사원이 지난 5월 16일 개설한 교육비리 신고 전담 창구 ‘맑은교육 188 콜센터’에 이달 26일까지 3개월여 동안 278건의 신고가 접수됐다. 이 창구가 없던 지난해 1년 감사원에 접수된 전체 신고 건수(239건)보다 많은 수치다. 휴가철인 7, 8월에도 무려 150건의 신고가 접수됐을 정도로 188 콜센터로 민원이 쇄도하고 있다.

이처럼 교육비리 신고가 폭증하는 것은 감사원이 대대적인 대학 등록금 감사에 돌입하면서 학교 구성원들 사이에 “이번엔 제대로 조사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팽배해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접수된 교육비리 신고 내용을 분류해 보면 학교재정 집행 관련이 117건으로 가장 많다. 이어 물품·납품 및 시설공사(33건), 인사(30건), 학사관리(27건) 순이다. 비리 내용은 학교 내부 인사가 아니면 도저히 짐작할 수 없는 것이 대부분인 것으로 알려졌다.

감사원은 신고 내용을 바탕으로 이미 몇몇 대학에 다음 달부터 특별감사에 착수할 것이라고 통보한 상태다. 특별감사 대상은 등록금 감사를 받는 66개 대학에 포함되지 않았던 서울시내 H대와 S대 등인 것으로 전해졌다.

감사원 관계자는 “이달 중 대학 등록금 감사는 끝나지만 교육비리 적발은 중단되지 않을 것”이라며 “이 문제에 큰 관심을 갖고 있는 양건 감사원장의 방침에 따라 교육비리 감사를 쉼 없이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감사원은 다음달 초 교육비리를 전담하는 교육감사단을 3개과 규모로 새로 출범시킬 예정이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