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소통합’ 논의 급물살… 민노당·진보신당 ‘통합’ 합의

입력 2011-08-28 19:44

정치권에서 진보·보수 진영 간 통합 움직임에 속도가 붙고 있다. 아직 한나라당, 민주당 등 여야 거대 정당이 대상은 아니지만, 군소정당 간 ‘소통합’은 물꼬가 트인 모양새다.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이 다음 달 25일 창당대회를 열어 새로운 통합진보정당을 창당키로 했다. 국민참여당 참여 여부는 추가 논의하기로 했다. 민노당 이정희 대표와 진보신당 조승수 대표는 28일 국회에서 만나 이 같은 내용의 ‘통합진보정당 건설을 위한 합의문’에 서명했다고 양당이 밝혔다. 양당은 새 통합정당 대표를 2012년 대선까지 공동대표제로 운영하는 내용에도 합의했다. 당명은 공모와 여론조사 등을 거쳐 결정된다.

남은 과제는 참여당 합류 시기와 방법이다. 민노당은 양당 대의원 대회에서 의견을 수렴한 뒤 9월 초부터 참여당 문제를 논의하자는 입장이다. 통합 시까지 합의를 이루지 못한다면, 창당 이후 진성당원들의 전당원투표를 통해 참여당 합류를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진보신당은 통합 이후에도 진보정당과 이념을 달리하는 참여당 합류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서고 있다. 현재 양당의 진성당원은 민노당이 3만5000여명으로, 진보신당 1만4000여명보다 배 이상 많다. 이 때문에 진보신당 ‘독자파’(민노당과의 합당에도 반대하는 진영)들은 “진성당원 투표제를 강요하는 것은 분당의 원인이 됐던 패권주의를 떠올리게 한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군소 보수정당 간 합당을 위한 물밑 접촉도 시작됐다. 이미 자유선진당과 국민중심연합은 지난 17일 당 대 당 통합에 합의한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국중련 심대평 대표와 선진당 변웅전 대표가 최근 희망연대 노철래 대표 권한대행과 별도 회동을 갖고 합당 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 권한대행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원칙적으로 희망연대는 한나라당과 합당을 결의한 상태”라며 “아직 합당선언이 유효하게 살아 있기 때문에 추석 전까지 이에 대한 논의를 매듭지으려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합당이 성사되지 않으면 그때 가서 선진당이든 국중당이든 보수 지향 정당끼리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현재 국회 의석수는 선진당 16명, 국중련 1명, 희망연대 8명이다. 이들이 새로운 교섭단체(의원 20명)를 구성할 경우 기존 한나라당과 민주당 양당 구도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또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독자 후보를 낼 경우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김나래 김원철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