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노현 선거 비리] “단일화 대가 아니다”… 곽 “선거와 무관한 선의의 지원” 주장

입력 2011-08-28 21:35

곽노현 서울교육감은 검찰수사를 정면으로 돌파하는 방식을 택했다. 그는 28일 서울시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박명기 서울교대 교수에게 돈을 준 사실을 인정하면서 검찰 수사는 정치적 의도가 담긴 ‘표적수사’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곽 교육감이 후보단일화와 관련해 상대 후보에게 돈을 준 사실을 시인했기 때문에 검찰 소환조사는 피할 수 없게 됐다. 더 나아가 교육감직 유지도 장담하기 어렵게 됐다.

곽 교육감은 기자회견에서 “당시 후보단일화는 전적으로 시민사회 원로들의 중재와 박 후보의 결단에 따른 것”이라며 “어떠한 대가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박 교수에게 2억원을 준 것은 단일화 이후 경제적으로 곤란해진 박 교수를 지원하기 위해서였다는 것이다. 그는 “(박 교수가)교육감 선거 과정에서 많은 빚을 졌고 이때 생긴 부채로 경제적으로 궁핍해져 자살마저 생각한다는 얘기를 들었다”면서 “같은 미래를 꿈꾸며 교육 운동의 길을 계속 걸어온 박 교수의 상황을 모른 척할 수는 없었다. 이번 일은 저의 전인격적 판단에 기초한 것으로 제겐 최선의 조치였다”고 덧붙였다.

곽 교육감은 준비한 기자회견문을 읽은 뒤 질문을 받지 않고 자리를 떠났다. 검찰은 곽 교육감이 측근을 통해 박 교수에게 1억여원을 전달했다는 혐의만 밝힌 상태다. 곽 교육감은 기자회견에서 박 교수에게 전달한 돈을 어떻게 마련했고, 나머지 1억원 가까운 돈을 어떻게 전달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타인 계좌를 통해 송금한 사실에 대해 “드러나게 지원하면 오해가 있을 수 있기에 선거와는 무관하게 저와 가장 친한 친구를 통해 입금했다”고 해명했다.

곽 교육감은 검찰 수사에 대한 불만도 강하게 드러냈다. 그는 “취임 이후 선거와 무관하게 그분의 딱한 사정을 보고 선의의 지원을 한 게 후보직 매수 행위냐”라고 반발했다. 곽 교육감은 이어 “교육감으로 당선된 때부터 지금까지 일거수일투족에 대해 권력의 감시와 언론의 주시 속에서 살았다”며 “항상 감시가 따르는 것은 진보교육감, 개혁성향 인물이라는 이유일 것이며 그런 점에서 이번 사건도 정치적 의도가 반영된 표적수사”라고 주장했다.

무상급식 등 향후 시교육청의 정책 방향도 불투명해졌다. 이번 사태로 시교육청은 당장 올해 2학기부터 무상급식에 필요한 예산 420억여원을 지원받기 위해 시의회와 협의를 진행하는 데 차질을 빚게 됐다. 본래 서울시교육청은 기존 계획대로 올해 말까지 초교 5~6학년까지 무상급식을 확대하고 단계적으로 실시 대상을 늘려 2014년까지 초·중학교 전면 실시를 완료할 방침이었다.

정부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