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 직후 청와대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즉각 사퇴’를 반대했다. 임태희 대통령실장과 김효재 정무수석이 24일 밤 오 시장을 만나 보궐선거를 내년 4월 총선 때 치르도록 사퇴 시기를 조율하려 했다. 10월 보선을 치러 패하면 이명박 대통령의 레임덕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이런 입장이 180도 선회했다. 내부에선 “투표함을 열지 못했으니 10월 보선에서 서울시민의 뜻을 다시 확인해보자”는 목소리가 높다. 보선을 10월에 치르면 자연스레 단계적 무상급식 대(對) 전면 무상급식 논쟁이 재연될 테니 ‘주민투표 2라운드’를 해보자는 뜻이다. 이는 이 대통령이 올 광복절 경축사에서 강조한 균형 재정과도 연관돼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보선을 내년 4월로 미루면 주민투표 결과에 승복해 전면 무상급식이 주민의 뜻이라고 인정하는 꼴이 된다. 그럴 경우 정치권에서 터져나올 복지 포퓰리즘 정책에 제동을 걸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자신감도 엿보인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주민투표에 215만명이 참여했는데, 한나라당이 18대 총선에서 서울 선거구 48곳 중 40곳을 석권하며 받은 180여만표보다 30만표 이상, 곽노현 서울시 교육감이 얻은 145만표보다 70만표나 많다”며 “이건 보수의 결집”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다음주 초 정치인 출신 이재오 특임, 진수희 보건복지부,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현인택 통일부, 백희영 여성가족부 장관을 교체하는 중폭 개각을 단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후임 통일부 장관에는 류우익 전 주중 대사가 유력한 가운데 남성욱 고려대 교수와 윤덕민 외교안보연구원 교수도 거론된다.
복지부 장관은 최원영 복지부 차관, 노연홍 식품의약품안전청장, 진영곤 청와대 고용복지수석 이름이 오르내리고 문화부 장관은 이동관 언론특보, 박범훈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김진선 전 강원지사 등이 물망에 올라 있다. 여기에 소설가 이문열씨와 연극인 송승환(PMC프로덕션 대표이사)씨처럼 파격적 인물을 기용할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실제 송씨는 검증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여성부 장관은 한나라당 비례대표 김금래 의원이 검토되고 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
[오세훈 시장 사퇴] 靑도 “서울시민 뜻 재확인해 보자” 급선회
입력 2011-08-26 2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