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의 전격 사퇴로 정치권이 10·26 재보선 체제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다. 당초 이번 재보선은 기초단체장 8명, 광역의원 7명, 기초의원 12명을 뽑는 미니 선거였으나 서울시장 보선이 추가되면서 내년 총선·대선의 향방을 가늠할 전초전이 됐다. 한나라당은 보수 대단결의 기회로, 민주당은 정권교체의 토대로 삼겠다는 계산이다.
민주당은 26일 서울시장 탈환을 위한 총력전 채비에 들어갔다. 주민투표 승리 여세를 이어가 10월 보궐선거에서도 압승해 복지정책의 정당성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민주당은 우선 오세훈 서울시장 사퇴 이전 설치한 ‘10·26 재보선 준비위원회’를 확대·강화해 재보선 지휘본부로 삼을 방침이다. 아울러 복지 문제가 재차 핫이슈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당내외 전문가들을 총동원해 ‘정책전’에도 대비키로 했다.
일단 지도부는 과도한 잔치 분위기를 자제해 역풍에 대비하자고 주문했다. 손학규 대표는 영등포 당사에서 열린 확대 당직자회의에서 “무상급식 주민투표 승리에 대해 우리는 더욱 겸손하고 낮은 자세로 국민의 명령을 받들 것”이라며 “국민들이 민주당을 신뢰할 수 있도록 몸가짐을 단정히 하자”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한명숙 전 총리와 박영선 정책위의장, 추미애 의원, 천정배 최고위원, 김한길 이계안 전 의원 등을 비롯해 10명 안팎의 보궐선거 출마 후보군이 형성되면서 치열한 경선이 예상된다. 인지도 높은 후보가 많아 경선 흥행 효과가 크지 않겠느냐는 기대를 걸고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경선 룰을 둘러싼 진통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도 있다. 당 관계자는 “어느 후보가 경선을 통과할 것인지, 본선 경쟁력은 누가 있는지를 두고 당내 곳곳에서 계속 토론이 벌어지고 있다”며 “보수 세력의 결집 가능성이 높아 후보 선정 작업에 심혈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야권 후보 단일화를 염두에 두고 다른 진보 정당들의 움직임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난해 서울시장 선거에 출마했던 진보신당 노회찬 전 대표는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번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는 지난번과 같은 단일화 실패가 반복되지 않을 것으로 확신한다”며 “반드시 후보 단일화가 이뤄져 야권이 승리하는 결과가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민주당 일각에서는 야권 후보가 자당 후보로 단일화될 경우 다른 야당들이 그에 따른 과도한 대가를 요구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
[오세훈 시장 사퇴] 민주당 “여세몰아 압승”… 야권 후보단일화 촉각
입력 2011-08-26 1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