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시장 사퇴 파장] 보궐선거 비용 700억원

입력 2011-08-26 18:26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는 최소 310억원의 공식 비용과 각 후보의 캠프 운영 및 유세 비용을 감안하면 700억원이 넘게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2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008년 7월 실시한 서울시 교육감 선거에 들어간 예산은 180억원이었다. 하지만 서울시장의 경우 투표율이 더 높아 그만큼 비용도 더 늘어난다. 선관위 측은 “투·개표 등 직접적 선거관리비용만 최소 210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다 법정 선거비용을 국가 예산으로 보전해줘야 한다. 현행 법에서는 득표율이 15% 이상이면 법정 선거비용 전액을, 10% 이상 15% 미만이면 50%를 돌려주게 돼 있다. 선관위 측은 이번에 90억∼100억원 정도가 보전비용으로 쓰일 것으로 추산했다.

각 후보 진영에서 쓸 돈도 막대하다. 보통 당내 경선을 치르면 1∼2등을 다투는 후보들은 20억∼30억원을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야 예비후보가 난립하면 액수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게 끝이 아니다. 본선 선거비는 더 들어간다. 익명을 요구한 정치권 관계자는 “본선은 법정선거비용(올해는 40억원대)을 훌쩍 넘어 3∼4배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렇게 여야 유력 후보가 다툴 경우 총 선거비용으로 700억원대가 추산된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