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진단 발표 코앞인데…” 프라임저축銀 자금확보 비상
입력 2011-08-25 19:22
프라임그룹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으로 9월 금융감독원 경영진단 발표를 앞둔 프라임저축은행은 자금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그룹 증자를 통한 자금 수혈이 불투명해져 금감원 시정조치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25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프라임저축은행은 최근 금융감독당국이 실시한 경영진단에서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기준치에 미달돼 증자 등 자구 노력을 요구받았다.
프라임저축은행은 이미 지난 3월 말 551억원 적자를 기록 중이다. BIS 비율도 5.1%로 적기시정조치 대상(5%) 기준을 간신히 넘겼다. 자산은 지난해 말 1조5832억원에서 1조4235억원으로 줄었고 부실대출 비율도 11%에 달할 만큼 건전성이 떨어졌다.
프라임그룹은 그동안 자산매각을 통해 프라임저축은행을 위한 증자를 실시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 그러나 프라임그룹이 워크아웃에 돌입하게 돼 채권단의 동의를 받아야만 증자가 가능하다. 프라임그룹의 유동성이 크게 악화된 상태에서 채권단이 적자 자회사에 대한 지원을 동의해줄 가능성은 낮다. 그룹은 외부 투자를 통한 자금 수혈을 검토 중이지만 실현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대규모 인출 사태가 재연될 가능성도 있다. 프라임저축은행은 6월에 대주주의 불법 대출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예금 인출 사태가 발생해 1170억원이 빠져나갔다.
프라임저축은행 관계자는 “자체 자산 매각과 외부 투자 유치 등 자구노력을 계속하고 있다”며 “대주주도 저축은행 정상화에 대한 의지가 강력해 채권단을 설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