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신용등급 강등] 엔화 약세땐 한국 수출기업 타격… 다른나라 확산도 부담

입력 2011-08-24 18:43

일본의 국가 신용등급이 Aa2에서 Aa3로 한 단계 강등됐지만 우리나라 수출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했다. 일본의 신용등급 강등이 어느 정도 예견됐다는 이유에서다. 전체 수출 중 대일 수출비중도 6%에 불과해 일본 내 수요가 줄더라도 큰 타격은 없을 것이란 분석이다. 다만 엔화가 약세로 전환되면 국내 수출기업이 타격을 볼 수 있다고 우려했다.

코트라 관계자는 24일 “일본 신용등급 강등은 이미 예상됐던 일이라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분위기는 아닌 것 같다”며 “신용등급이 내려가도 현재 엔화에 변동이 없기 때문에 국내 수출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최근 원화 강세에도 우리나라 기업의 수출실적이 좋았던 것은 엔화가 워낙 강세였기 때문”이라며 “이번 사태로 엔화가 약세로 돌아서면 엔고 수혜를 누렸던 우리 수출기업이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기업들은 대일 수출비중이 크지 않은 만큼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면서도 신용등급 강등 사태가 다른 지역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어 예의주시하고 있다.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수출 4663억8000만 달러 중 대일 수출 규모는 281억7000만 달러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미국과 달리 일본은 수출비중이 크지 않아 당장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하지만 다른 지역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어 실물경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일본 정부가 엔화 강세를 완화하기 위해 1000억 달러 규모의 자금을 시장에 공급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국내 수출기업의 채산성 악화 우려를 부추겼다.

무디스가 일본의 국가부채 증가를 문제 삼은 것도 각국 정부의 경기부양책에 제동을 걸어 수출 위주의 우리나라 경제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과 유럽 등 세계 각국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재정지출을 늘렸으나 재정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재정지출을 급속히 줄이고 있다.

권지혜 맹경환 김정현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