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원어민강사 퇴출·임금 체불 위기

입력 2011-08-24 22:47

경기도 내 1000여명의 학교 원어민 강사들에 대한 올 하반기 인건비가 체불될 위기에 놓였다. 이는 경기도의회가 관련 예산을 전액 삭감하면서 도교육청이 급여를 지불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면서 비롯됐다.

24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도의회는 지난달 18일 도교육청 올 1차 추경예산안을 심의하면서 “예산 편성을 위한 충분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했다”며 원어민강사 인건비 예산 156억원을 전액 삭감했다. 도교육청은 이 예산으로 각 학교 원어민강사들의 8월부터 내년 2월까지 급여를 줄 계획이었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원어민 강사가 배치된 학교들에 공문을 보내 계약이 만료된 원어민 강사와 계약 연장을 하지 말 것, 학교운영비로 원어민 강사 급여를 우선 지급할 것 등을 주문했다. 도교육청은 이 같은 방법으로 학교들이 급여를 우선 지급하게 한 뒤 오는 11월 2차 추경예산 편성 때 관련 예산을 확보해 이를 보전해주겠다는 입장이다.

도교육청 국제교류협력담당 관계자는 “관련 예산이 조금 남아 있어 당분간 원어민 강사에게 급여를 지급할 수는 있으나 내년 2월까지 모두 지급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이라면서 “학교운영비도 여유가 없어 인건비로 돌려쓸 여건도 안된다”고 설명했다.

일부 학교에서는 벌써 원어민 강사를 퇴출시키는 등의 조치가 이뤄지자 해당 학교 학부모들은 “국제화시대의 교육정책을 정면으로 위반하는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수원시 내 P중학교와 C고등학교에서는 원어민 강사에게 사퇴서를 받았다.

학부모들은 “원어민 교사도입제도는 학생들의 글로벌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 긍정적 효과가 있다”며 “의회가 연속사업인 원어민강사 인건비를 삭감한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현재 원어민교사들은 1년 단위로 계약을 하고 있다. 보수는 년 4000만원선으로 월급, 월세지원금, 보험료 등이 포함돼 있다. 경기도내 원어민교사는 현재 1000여명이지만 올해 말로 300여명이 계약이 끝나 그만두게 된다.

수원=김도영 기자 do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