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채 4000억 달러 육박… 154억달러 늘었지만 폭은 둔화

입력 2011-08-23 19:07


대외채무(외채)가 4000억 달러에 근접했다. 그러나 외국인들의 채권 투자에 따른 장기외채가 주로 늘어나 질적으로는 개선됐다는 평이다. 정부는 “우리나라의 높은 대외의존도 때문에 외채 증가는 불가피하다”면서도 추가적인 안전장치를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23일 한국은행의 ‘6월 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말 현재 외채 잔액은 3980억 달러를 기록했다. 시장에서는 1분기(3월 말)보다 154억 달러 늘었지만 증가폭은 1분기(전 분기 대비 226억 달러 증가)에 비해 다소 낮아졌다. 시장에서는 전체 외채 규모가 4000억 달러를 넘어섰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단기외채보다 장기외채가 증가세를 주도했다. 단기외채는 13억 달러가 늘어나는 데 그쳤다. 1분기 증가폭(135억 달러)의 10% 수준이다. 반면 장기외채는 외국인의 국고채 및 국내 장기채권 투자, 예금취급기관의 장기차입 증가 등 영향으로 단기외채의 10배가 넘는 141억 달러가 증가했다.

이에 따라 총 외채 중 단기외채 비중은 1분기보다 1.2% 포인트 떨어진 37.6%를 기록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8년 9월(51.9%)과 비교하면 14.3% 포인트나 낮아졌다. 한은 관계자는 “총 외채가 늘었지만 증가폭이 둔화됐고, 단기외채 비중이 줄어 외채 구조가 질적으로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정부는 선제 대응을 목표로 다각도의 외채 관리방안을 검토 중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외채 증가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긴 하지만 자본유출입 변동성이 심해지면 우리 경제의 잠재적·시스템적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 “국제 금융시장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존 제도의 탄력적 운영 등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은행의 선물환포지션 한도 규제, 외환건전성 부담금 부과 등으로 대표되는 기존 제도를 강화하거나 외국인 채권투자에 대한 규제를 신설하는 방안을 놓고 고민하고 있다.

재정부 고위관계자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검토하고 있으나 어떤 제도를 어느 시기에 할 것인지 결정된 바는 없다. (외국인 채권투자 규제 신설은) 계속 방안을 찾고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준구 조민영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