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쌍수 한전 사장 전격 사의… 정부에 대한 항의인가

입력 2011-08-23 22:31


김쌍수(사진) 한국전력 사장이 최근 청와대와 지식경제부에 사의를 표명했다.

23일 지경부에 따르면 김 사장은 전기요금 현실화를 정부에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으나 반영되지 않자 고민하다 임기 만료를 앞두고 사의 표명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사장은 임기가 오는 26일까지로 후임 사장이 선임될 때까지 근무할 예정이었다. 한전은 김 사장 후임이 선임될 때까지 당분간 김우겸 부사장 직무대행체제로 운영될 예정이다.

지경부 안팎에선 김 사장이 임기 만료 직전 사의를 표명한 것과 관련, 정부에 대한 항의의 뜻이 담겨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 사장은 3년 전 취임 직후부터 전기요금 현실화와 원가보상, 연료비 연동제 등을 정부에 강력히 요구해 왔다. 한전이 만성적자에서 벗어나려면 최소한 전기를 손해 보고 파는 시스템은 바꿔야 한다는 논리였다.

그러나 정부가 물가 부담 등을 이유로 계속 미루자 회의감을 느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최근 무배당과 주가 하락을 이유로 소액주주들에게 소송까지 당하자 더 이상 사장직을 맡을 이유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한전 사장으로 재직하면서 끊임없는 안팎의 공세에 시달렸던 점도 ‘조기 사퇴’ 이유 중 하나일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LG전자 부회장 출신인 김 사장은 한전 사상 최조의 민간경영인 출신 사장이었다. 그는 취임 후 정치권과 정부의 인사청탁을 끊으려 했다. 계열사 사장단 회의에서도 “흔들림 없이 인사권을 행사하라”고 주문했고, 인사청탁을 한 사람을 무보직으로 발령 내기도 했다.

따라서 정치권에 미운털이 박혔다는 관측이 심심찮게 나돌았다. 지난해에는 사퇴설에 시달리기도 했다. 국정감사에서 “해외교환사채 조기상환 과정에서 4986억원의 환차손을 봤다”는 의혹에 휩싸였고, 한전 직원들에게 성과급 3780억원을 지급해 ‘돈 잔치’를 벌였다는 비판도 받았다. 이런 이유로 한때 김 사장의 사퇴가 임박했다는 루머가 나돌았다. 그는 25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그동안의 소회를 밝힐 예정이다.

노석철 기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