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다피 정권 붕괴] 우리 정부 대응은… 국내기업 기존계약 유지에 총력
입력 2011-08-22 21:58
리비아의 카다피 정권 붕괴가 임박하면서 우리 정부도 ‘포스트 카다피’의 향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22일 “카다피 정권 축출은 시간문제로 보인다”며 “과도국가위원회(NTC)를 주축으로 한 반군 세력에 대한 정치적 지지를 본격화하면서 정국 전개를 주시하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현재 가장 신경 쓰고 있는 대목은 현지에 진출한 국내 기업의 사업 프로젝트들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지 여부다. 일단 NTC 측이 기존 계약을 유지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면서도 만일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외교부는 이와 관련해 23일 국토해양부, 국정원 등과 관계부처 협의회를 구성해 리비아 사태 종결 이후 범정부 차원의 대응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올 초 아프리카·중동 지역의 민주화 시위가 일어나기 전까지 리비아에는 대우 현대 한일 신한 원건설 등 21개 건설사(하도급 업체 포함 72개사)가 총 47개 현장에서 105억 달러 규모의 공사를 진행 중이었다. 그러나 리비아 내전 이후 74억 달러 규모의 공사가 중단된 상태다.
이 당국자는 “기존 계약 유지에 문제가 없도록 외교적 노력을 경주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앞으로 NTC를 상대로 100만 달러를 직접 지원하고, 필요할 경우 정부 고위급 인사를 파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한편 튀니지에 임시 사무소를 마련한 코트라 트리폴리 무역관장 이길범씨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현재 리비아에 주재했던 1500명의 기업인과 교민 대부분은 피신한 상황이고, 19명만 잔류하고 있는데 다행히 모두 무사하다”고 말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