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방러] 남-북-러 철도·가스관 사업 탄력 받을까
입력 2011-08-21 22:30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방러를 계기로 시베리아횡단철도(TSR)와 한반도종단철도(TKR)를 연결하는 사업과 북한 경유 가스관 사업이 탄력을 받을지 주목된다.
러시아의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최근 김 위원장에게 보낸 광복절 축전에서 가스, 에너지, 철도건설 분야 등에 대한 협조를 직접 언급하기도 했다. 따라서 김 위원장이 러시아의 제안을 받아들일 경우 두 사업은 급물살을 탈 수도 있다.
한국과 러시아는 2006년 10월 한·러 정부 간 가스분야 협력 협정과 가스공사-가즈프롬 간 가스산업 협력의정서를 체결하며 본격적인 PNG(파이프천연가스) 프로젝트를 본궤도에 올려놨다. 이는 러시아 극동·시베리아 지역에서 생산되는 가스를 북한을 통과하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남한에 공급하는 사업이다.
가스공사는 2008년 러시아 측 파트너인 가즈프롬과 가스공급 양해각서를 교환한 뒤 현재까지 실무적인 논의를 계속하고 있다. 사업이 성사되면 러시아는 가스판로 확보 및 극동지역 경제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고, 북한은 연간 1억 달러 가량의 가스 경유 수수료를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남한은 선박으로 LNG를 수입할 때보다 수송료를 3분의 1로 줄일 수 있다.
TSR과 TKR을 연결하는 사업은 1980년대부터 거론되기 시작했다. 이어 2001년 8월 김 위원장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TKR과 TSR 연결 사업에 합의했고, 2006년 3월에는 남북한과 러시아 3국의 철도 책임자 회의에서도 서로 의지를 확인했다. 이후 남북 경색으로 답보상태에 빠졌으나 북한도 이 사업의 필요성에는 공감하는 분위기다.
북한 사회과학원 송현철 연구원은 21일 중국 옌지에서 열린 ‘2011 두만강 학술포럼’ 주제 발표 자료를 통해 “‘조선반도(한반도)종단철도’가 구축되면 우선 지하자원과 곡물이 풍부한 중국 동북 3성이 수혜자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러시아의 경우 구소련의 붕괴로 대서양과 흑해 연안 40여개 항구를 잃은 데다 자국의 화물 70% 이상을 운송해야 하는 극동지역 항구들이 겨울 4개월간 얼기 때문에 TKR 연결에 기대를 걸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이 부레이 수력 발전소를 방문하면서 남·북·러의 전력망 연계사업도 주목된다.
러시아는 과거 가스관 건설과 함께 같은 노선을 통과하는 송전선 구축 프로젝트를 남북한에 제안했다. 부레이 발전소에서 생산된 잉여 전력을 북한을 경유해 남한까지 공급하겠다는 내용이었다. 이는 2003년부터 본격 추진되는 듯했으나 북한의 무관심과 남북관계 경색으로 진척을 이루지 못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의 방러에서 가스관 사업이 다시 추진된다면 전력망 연계사업도 함께 탄력을 받을 것이란 분석이 제기된다.
노석철 기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