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정진영 민정수석 내정 배경…집권후반 ‘친위 사정라인’ 완성
입력 2011-08-19 22:43
이명박 대통령은 19일 오후 청와대로 정진영 전 인천지검장을 불러 1시간가량 면담한 뒤 민정수석으로 최종 낙점했다. 대형 로펌 재직, 시도상선 사건 수임 의혹, 출신 지역 등 여러 ‘약점’이 제기돼 왔지만, 청와대는 “업무 수행에 문제가 없다”고 발탁 배경을 설명했다. “능력에 더 많은 비중을 뒀다”거나 “열의가 대단했다”는 설명도 있었다.
이로써 권재진 법무장관, 한상대 검찰총장, 정 내정자로 이어지는 현 정권 마지막 사정라인이 완성됐다. 권 장관은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이 대통령을 보좌하다 곧바로 장관이 됐다. 정 내정자는 권 장관의 고교(경북고) 및 대학(서울대 법대) 후배인 데다 같은 대구·경북(TK) 출신이다. 서울 출신에 고려대를 나온 한 총장도 권 장관이 민정수석 시절 인선 과정에 깊숙이 개입해 발탁됐다. 이 대통령의 최측근인 권 장관을 정점으로 ‘친위라인’이 꾸려진 것이다.
이는 임기 말 각종 게이트가 터지고 사정라인의 충성도가 약해지면서 레임덕에 시달렸던 역대 정권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여권 관계자는 “현 구도는 권 장관에게 힘이 쏠리게 돼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내년 총선에 출마할 정치인 장관의 조기 교체를 선택했다. 임태희 대통령실장은 “국회의원인 장관들을 9월 정기국회 전에 국회로 돌려보내기 위해 개각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8월 중 교체 대상자는 이재오 특임장관, 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이다.
개각이 단행될 경우 이 장관과 진 장관은 1년 만에, 정 장관은 불과 8개월 만에 국회로 돌아가게 된다. 이 장관은 국회 복귀를 희망했지만, 나머지 두 장관은 정기국회를 마친 뒤 떠나겠다는 의사를 강하게 피력해 왔다. 그럼에도 일괄 교체를 택한 것은 ‘임기 말까지 일하는 정부’를 만들겠다는 대통령의 뜻으로 풀이된다. 임 실장은 “정기국회는 각 부처의 내년 예산을 짜는 자리여서 실제 예산을 집행할 새 장관들이 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이번 개각에 포함되리라 예상됐던 현인택 통일부 장관의 거취는 유동적이다. 현 장관 교체는 당초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북한에 ‘시그널’을 보내는 차원에서 검토됐다. 그러나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현재 북한 내부사정이 매우 복잡해 이런 시그널을 받아줄 준비가 안 돼 있다”고 했다. 임 실장도 “남북관계와 맞물린 현 장관 문제는 앞서서 말하기 어렵다”고 했다.
특임장관은 공석으로 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후임으로 거론되던 권철현 전 주일대사는 내년 4월 총선 출마 준비를 시작했다. 정치권에서 총선을 포기하고 특임장관을 맡으려는 인사를 찾기가 쉽지 않다고 한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