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소프트웨어 발전 기반부터 강화해야

입력 2011-08-19 17:38

세계 정보기술(IT) 업계가 지각변동을 하고 있다. 인터넷 검색업체 구글이 미국 휴대전화 제조업체 모토로라를 인수한 데 이어 세계 최대 개인용 컴퓨터(PC) 제조업체 휴렛팩커드(HP)가 18일 영국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오토노미를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HP는 PC사업의 분사나 매각을 검토하고 있다.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을 정도로 IT산업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분야의 장래는 암울하기 짝이 없다. 한국 스마트폰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28%로 최고를 자랑하지만 휴대용 기기를 작동시키는 운영체제(OS) 점유율은 2%를 밑돌고 있다. 기업들의 투자 외면, 전문가 푸대접, 게임업체로의 인력 쏠림, 안이한 정부 대처, 대학 관련 학과의 정원 미달에 따른 인재 고갈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 결과다.

소프트웨어 분야의 경쟁력이 유독 약하게 된 데는 정부 책임도 적지 않다. 정부는 2008년 2월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정보통신부를 해체하고, 소관업무를 지식경제부, 방송통신위원회 등으로 분산시켰다. 부처 이기주의와 칸막이가 엄존하는 상황에서 컨트롤 타워마저 없으니 소프트웨어 분야가 발전할 수 있겠는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4G 기술 와이브로가 유럽 중심의 LTE 기술에 밀린 것이나 싸이월드가 후발주자인 트위터나 페이스북의 영향력에 눌려 고전하는 것이 대표적 사례다.

한국 대기업들이 글로벌 기업의 하청업체로 전락할 수 있다는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최근 경고는 결코 빈말이 아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중무장한 구글이 스마트폰 OS를 유료화하거나 폐쇄적으로 운영할 경우 우리나라 휴대전화 업체에 치명타가 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해법은 문제의 심각성을 절감하는 데서부터 찾아야 한다. 소프트웨어 분야를 포함한 IT산업을 육성·지원할 수 있는 정부 부처를 일원화하고, 소프트웨어 기반 조성을 위해 정부와 업계가 지혜를 모아야 한다. 국내 기업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해서라도 세계적 소프트웨어 기업의 인수합병(M&A)에 나서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