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저축銀 피해자들 “추석은 다가오는데…” 번갈아 농성하며 한숨만

입력 2011-08-17 21:44


“추석은 다가오는데 아이들 볼 낯도 없고…정말 가슴이 답답합니다.”

17일 오전 10시쯤 부산 초량동 부산저축은행 본점 앞에서는 피해 예금주들의 집회가 열렸다. 2500여명의 피해 예금주들은 영업정지 6개월을 맞은 이날까지 3층 영업장에서 번갈아 농성을 하며 피해보상을 요구해 왔다.

농성자들은 “피해자는 많은데 책임질 사람은 없다”며 정부와 정치권을 한목소리로 비난했다. 이들은 6개월간 밤낮으로 거리와 영업점에서 농성한 탓에 생계는 물론 건강마저 악화된 상황이다. 특히 정치인들의 잇단 발언에 희망을 갖기도 했지만, 결국 아무런 진전이 없는 상태다.

부산저축은행 사태 피해자 모임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단 40여명은 집회가 끝난 뒤 곧바로 서울로 향했다. 국회를 방문해 뚜렷한 성과 없이 끝난 국정조사를 비난하고 “정치권이 적극 나서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이어 서초동 대검청사를 방문해 김황식 국무총리와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 백용호 청와대 정책실장 등 5명을 직무유기 등 혐의로 고소장을 접수했다.

이들은 소장에서 “국정조사 등을 종합한 결과 2008년 이후 수차례 부산저축은행의 문제점이 금감원 등을 통해 정부 부처와 청와대 등에 보고됐으나 묵살됐다”며 “이 같은 내용을 보고 받는 선상에 있던 모든 사람들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옥주 비대위원장은 “2010년에도 저축은행 부실 운영에 대한 보고가 청와대에서 이뤄졌으나 주요 20개국(G20) 회의 등을 앞둔 시점에 모두 무시돼 피해가 커졌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대부분이 60∼80대인 피해자들은 전 재산을 털어 노후생활 자금으로 맡겼다”며 “이제 농성장 외에 갈 곳이 없다”고 하소연 했다.

한편 총 2조5137억원에 달하는 예금액 5000만원 이하 예금주 11만7107명도 시간이 지나면서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통상 영업정지 조치 3∼4개월 후 예금주들에게 원금과 이자를 줬지만 현재 부산저축은행 등은 매각이 중단된 데다 실사가 늦어지면서 원금 지급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부산=글·사진 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