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독도에 해병대 주둔시키자”
입력 2011-08-14 18:18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여야 정치권은 독도와 동해 문제에 관한 정부의 대일(對日) 강경 대응을 주문하며 오랜만에 한 목소리를 냈다.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는 해안경비대가 주둔 중인 독도에 해병대를 주둔시키자고 제안했다. 홍 대표는 여의도 당사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우리가 적극적으로 독도에 대한 영토수호 의지를 확인해야 할 시점이 왔다고 본다”면서 “울릉도에 중대급 해병대를 배치하고, 그곳에서 1개 소대씩 돌아가면서 독도에서 근무하도록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에 대해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적극 환영 의사를 밝혔고,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도 ‘정부와 여당이 결정하면 외교부는 반대하지 않겠다’고 말했다”고 덧붙였다. 국방부도 이날 “정부 차원에서 결정하면 군은 시행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청와대 관계자는 “김황식 총리가 이미 국회 답변을 통해 ‘이 문제를 장기적으로 검토해 보겠다’고 설명했다”며 당장 독도에 해병대를 배치하는 것에 부정적인 입장을 내놨다.
이병석 당 독도특위 위원장은 “2013년 완공 예정인 독도종합해양과학기지 사업을 영토주권 차원에서 내년 말까지 조기 완료할 수 있도록 정부에 촉구하겠다”고 말했다. 이재오 특임장관은 13일 트위터를 통해 “1700년대 세계 고지도에는 동해가 일본해가 아닌 한국해로 표시돼 있다”면서 “8·15 광복절 경축사에서 ‘동해’를 ‘한국해’로 표기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천명해 달라”고 이명박 대통령에게 건의했다.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광복절 당일 독도를 방문해 동아시아 침략전쟁에 대한 일본의 반성을 촉구하는 ‘독도 성명’을 발표할 예정이다. 같은 당 전병헌 의원도 “정부는 ‘조용한 외교’를 재검토하고 맞대응을 넘어선 ‘선제적 외교’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올해 독도 방어를 위한 합동 기동훈련이 두 차례 실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4∼6일 해군 1함대 예하 13고속정전대가 주관한 합동 기동훈련에 10여척의 수상함과 육군 8군단 예하 포병부대, 무인항공기(UAV), 공군 KF-16 등이 참가했으며 훈련 중간에 독도 방어훈련이 실시됐다. 군은 해경과 합동으로 1990년대 중반부터 독도 방어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노용택 김원철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