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화고 취업 현장] 정부 ‘2012년 취업률 37%, 2013년 50%’ 의욕 좋은데… 실천은 걸음마

입력 2011-08-14 18:09


“내년에 마이스터고 취업률 100%, 특성화고 취업률 37%를 달성하겠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하반기 최대 역점사업으로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취업 활성화를 꼽으며 밝힌 목표다. 교과부는 특성화고 취업률 목표를 올해 25%, 내년 37%, 2013년 50%로 잡았다. 마이스터고는 지난달 기준으로 2309명(전체 학생 대비 64%)이 채용약정을 맺었다.

교과부를 비롯해 기획재정부 노동부 국방부 등 정부부처가 특성화고 취업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교과부는 최근 ‘취업촉진팀’을 만들었다. 대한상공회의소 등 경제단체 관계자들도 참여하는 민관 합동기구로 특성화고 학생의 취업률 제고 전략을 마련한다. 지난 11일에는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경제5단체와 교과부 관계자들이 첫 모임을 갖기도 했다.

교과부는 시·도교육청이 특성화고 학생의 취업 지원을 돕는 ‘취업지원센터’를 운영토록 독려하고 있다. 현재 광주·인천·경기·충북·충남 교육청 등이 취업지원센터를 설치했다. 또 시·도교육청별로 지방은행 등과 취업약정 MOU를 체결하도록 하고 있다.

특성화고 취업률 제고의 최고 걸림돌인 군대 문제도 한시적으로나마 해결책을 마련했다. 국방부는 내년에 폐지를 검토했던 군복무 대체제도인 ‘산업기능요원제도’를 2015년까지 존치키로 했다. 선발인원은 내년 7000명, 이후 4000명이며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졸업생에게만 적용키로 했다. 또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졸업 취업자도 대학생처럼 최대 4년간 입영을 연기할 수 있게 했다.

기획재정부는 특성화고 졸업생 채용기업에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도 특성화고 졸업생을 기능직 공무원으로 채용하는 ‘기능인재 추천제’를 확대할 방침이다.

일단 정책 ‘설계도’는 나왔지만 내용면에서는 아직까지 걸음마 단계다. 올해 교과부의 특성화고 지원예산은 2158억원이지만 이 중 1582억원은 취업 지원과는 거리가 먼 재학생 장학금이다. 취업 지원에 투자되는 ‘취업기능강화사업’ 예산은 576억원에 그쳤다. 그나마 지원 대상도 모든 특성화고가 아닌 취업 성과가 좋은 학교만 지원하는 방식이다.

교사 대신에 취업 문제를 전담할 ‘취업지원관’도 부족하다. 노동부 사업인 취업지원관은 전국 108명에 불과하고 이마저도 전문대와 특성화고에 분산돼 있다. 기업의 특성화고 채용 바람이 ‘반짝 관심’에 그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과제다. 교과부 김영철 평생직업교육관은 “특성화고 취업은 임금 수준과 승진 차별 해소 등 기업의 협조가 없이는 불가능하다”며 “능력중심 채용 문화가 확산되도록 정부가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임성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