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의 청년세대] 영국·칠레 등 폭동 왜… ‘상대적 박탈감’에 거리로 우르르

입력 2011-08-12 18:48

영국 칠레 이스라엘 그리스 등 전 세계에 번지고 있는 폭동과 대대적인 시위의 공통점은 상대적 박탈감이 도화선이 됐다는 것이다. 특히 교육, 복지혜택, 취업 등에서 소외된 젊은층의 불만이 폭력적인 모습으로 표출됐다.

영국 폭동이 시작된 곳은 빈민층이 많이 사는 런던 북부 토트넘 지역이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토트넘을 포함한 헤링게이 지역은 런던에서 네 번째로 높은 아동빈곤율을 보이고 있으며 실업률도 다른 지역보다 평균 배 이상 높다”고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역 내 빈곤이 이번 폭동의 도화선이 됐다는 것이다.

영국 정부는 “이번 폭동은 단순한 범죄일 뿐이며, 주동자들은 예전부터 경찰 사이에서 말썽꾼으로 찍혀 있던 자”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연립정부 출범 이후 긴축 재정을 실시하면서 비슷한 시위가 잇따르고 있어 이번 폭동도 긴축 재정에 따른 복지혜택 감소가 원인이 됐다는 의견도 있다.

영국 정부는 재정적자 감축을 위해 향후 4년간 공공지출을 810억 파운드(약 139조원) 줄일 계획이다. 공공부문 연금 수급 연령을 66세로 늦추고 납입액도 평균 3.2% 인상하려고 한다. 새 일자리의 3분의 1은 65세 이상 노년층에게 돌아가고 있다. 대학들은 내년부터 등록금을 3배 가까이 올릴 계획이다. 영국에서는 최근 몇 달간 긴축 재정, 연금 문제 등으로 시위가 잇달았다.

남미 대륙에서 국민소득이 가장 높은 칠레에서는 지난 5월부터 공교육 개혁을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지고 있다. 전체 학생 350만명 중 90%가 다니는 공교육의 질을 높여 달라는 것이다.

시위는 학생뿐만 아니라 교사, 학부모 등의 동참으로 확산되고 있고 폭력 시위 양상도 띠었다.

칠레 시위도 부의 분배 실패에 뿌리를 두고 있다. 디에고 포르탈레스 대학 공공정책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칠레 국민 1700만명 중 상위 20%의 월평균 소득은 미국 노르웨이 덴마크 등과 비슷하지만 국민 60%는 693달러(약 73만원)에 불과하다. 칠레 국가 전체는 부유하지만 소외감을 느끼는 국민이 그만큼 많다는 것이다.

그리스 수도 아테네 시위 중심지로 연일 몰려나오는 시위대는 고등교육을 받고도 백수 신세인 급진 청년들이 주를 이룬다.

이스라엘에서는 지난 6일 31만명이 거리로 나와 집값 폭등과 물가상승 등에 대해 정부를 비판하는 시위를 벌였다. 대규모 인원이 시위에 나선 것은 이례적으로 ‘이스라엘의 봄’이라는 표현까지 등장했다. 시위대는 복지, 주택에 대한 예산 확충, 간접세를 줄이는 세제 혜택 등을 요구하고 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